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동맥내 재개통 치료 후 적극적 혈압 조절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
DB 활용(비교평가) |
상태 |
진행중
|
과제번호 |
RS-2024-00398053 |
연구책임자 |
남효석 |
연구기간 |
2024-04-01 ~ 2025-12-31 이내 |
연구비 |
|
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참여기관 |
-
기관목록
|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
DB 활용(비교평가) |
상태 |
진행중
|
과제번호 |
RS-2024-00398053 |
연구책임자 |
남효석 |
연구기간 |
2024-04-01 ~ 2025-12-31 이내 |
연구비 |
|
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참여기관 |
0개 기관
기관목록
|
연구배경 및 필요성
- 급성 뇌경색환자에서
동맥내 재개통 치료는 빠른 시간에 막힌 혈관을 재개통 시킴으로써 환자의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는 임상연구를 통해 그 효과가 입증됨. 그러나, 동맥내 재개통 치료 후 처음 24시간은 뇌출혈 발생, 뇌경색 진행, 재폐색 등 환자 예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혈관 사건들이 발생할 수 있는 고위험 시기임. 따라서, 해당 기간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나 현재까지 이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함
- 최근에 실시된 본 연구팀의 OPTIMAL-BP 연구와 ENCHNATED 2/MT, 두 개의 무작위배정 임상시험은 성공적인 동맥내 재개통 치료 후 적극적인 혈압조절이 표준적인 혈압 조절에 비해 예후가 더 나쁘다는 것을 보여주었음. 반면, BP-TARGET 연구와 BEST-Ⅱ 연구는 적극적인 혈압조절과 표준적인 혈압 조절의 차이를 보여주지 못함
- 이러한 차이는 동양, 서양의 차이 이외에도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적극적인 혈압조절 치료 혹은 표준적인 혈압조절 치료가 영향을 줄 수 있음
-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가장 효과적인 치료를 입증한다면 뇌경색 환자 치료의 새로운 임상지침으로 쓰일 수 있고 환자의 예후를 좋게할 수 있음
- 본 연구 주제는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주제여서 해당 연구를 통해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의미가 있는 임상연구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음
연구목표
-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급성 뇌경색으로 성공적 동맥내 재개통 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혈압 조절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함
- 세부 연구목표
- 연구주제 1: 두개내 동맥경화 협착이 있는 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동맥내 재개통 치료 후 적극적인 혈압 조절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함
- 연구주제 2:
정맥내 혈전용해제(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제,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tPA) 투여 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동맥내 재개통 치료 후 적극적 혈압 조절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함
- 연구주제 3: 급성 뇌경색에서 동맥내 재개통 치료 후 정맥내 혈압약 투여가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함
- 연구주제 4: 여러 차례 시도한 동맥내 재개통 환자에서 적극적 혈압 조절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함
연구방법
활용자료원 | ○ KCT0004780: 급성 뇌경색에서 재개통술 직후 표준적 혈압 조절 치료와 적극적 혈압 조절 치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전향적, 무작위배정,공개,눈가림 결과 평가 임상시험 (iCReaT C200010 과제) - SMART DB 레지스트리 ○ OSRIX MD (영상 저장 및 리뷰 시스템 보유) |
연구 방법 I | 자료 연계·결합 | 연계시행(✔) 해당없음( ) | SMART DB 레지스트리, OSRIX MD+ 통계청 사망자료, 심평원 자료 연계 |
연구 대상자 | 급성 뇌경색으로 입원하고 동맥내 재개통술을 시행받은 환자로 선행연구인 OPTIMAL-BP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 302명 중 전방 순환 뇌경색 환자 |
중재 /환자군 | 1 | 적극적 혈압 조절군(n=155) | 동맥 재개통 성공 후 적극적인 혈압 조절군(<140 mmHg) |
비교군 | 2 | 표준적 혈압 조절군(n=147) | 동맥 재개통 성공 후 표준적 혈압 조절군(140-180 mmHg) |
결과 변수 | 1차 결과변수 | ○ 3개월 째 기능적 독립성(modified Rankin Scale [mRS] score 0-2) ○ 증상성 뇌내출혈, 3개월 이내 지표 뇌졸중과 관련된 사망 |
2차 결과변수 | ○ mRS 점수의 변화 분석(mRS shift analysis) ○ 조기 신경학적 개선(NIHSS 점수 0-1 혹은 8점이상 회복) ○ 24시간 시점의 성공적 재관류 ○ 1개월 시점의 기능적 독립성 (mRS 0-1 at 1 month) ○ EQ-5D-3L 점수 ○ 악성 뇌부종 발생 |
연구 방법 II | 자료 연계·결합 | 연계시행(✔) 해당없음( ) | SMART DB 레지스트리, OSRIX MD+ 통계청 사망자료, 심평원 자료 연계 |
연구 대상자 | 급성 뇌경색으로 입원하고 동맥내 재개통술을 시행받은 환자로 선행연구인 OPTIMAL-BP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 302명 전체 |
중재 /환자군 | 1 | 적극적 혈압 조절군(n=155) | 동맥 재개통 성공 후 적극적인 혈압 조절군(<140 mmHg) |
비교군 | 2 | 표준적 혈압 조절군(n=147) | 동맥 재개통 성공 후 표준적 혈압 조절군(140-180 mmHg) |
결과변수 | 1차 결과변수 | ○ 뇌경색 이후 3개월 째 독립적인 기능적 회복(수정랜킨척도, modified Rankin score, mRS 2점 이하) ○ 증상성두개내출혈(symptomatic intracranial hemorrhage) ○ 3개월내 뇌경색으로 인한 사망(deathe due to index stroke) |
2차 결과변수 | ○ 뇌경색 이후 3개월째 mRS의 분포 ○ 뇌경색 발생 이후 36시간 이내 모든 종류의 두개내출혈(intracranial hemorrhage) ○ 증상 발생 후 24시간째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NIHSS) 점수 ○ 증상 발생 후 24시간째의 급격한 증상 회복(NIHSS 점수 0-1 혹은 8점을 초과하는 회복)을 보인 환자의 비율 ○ 24시간째 성공적인 재관류 상태(modified Thrombolysis in Cerebral Infarction grade 2b 이상) 유지 ○ 뇌경색 이후 1개월째 독립적인 기능적 예후(mRS 2점 이하)획득 ○ 3개월째 EuroQol five-dimension three-level (EQ-5D-3L) 점수 ○ 증상 발생 36시간 내 악성 대뇌 부종의 빈도 ○ 24시간째 시행된 자기공명영상 혹은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분석한 뇌경색 부피 |
예상결과 및 기대효과
- 예상결과
- 연구주제 1: 뇌혈관 폐색의 병인(두개강 내 동맥경화성 협착 또는 색전성 폐색)에 따라 재개통치료 혈압 조절의 효과가 다를 것임. 구체적으로는 두 개강 내 동맥경화성 협착 환자가 색전성 폐색 환자에 비해서 성공적인 동맥내 재개통 치료후 적극적인 혈압 치료가 더 해로울 것임
- 연구주제 2: 성공적인 동맥내 재개통 치료후 정맥내 혈전용해제(tPA)를 투여받은 환자군에서 적극적인 혈압조절이 더 해로울 것임
- 연구주제 3: 인위적으로 정맥내 혈압약을 투여한 환자가 자연스러운 혈압저하 환자에 비해서 나쁜 예후를 보일 것임
- 연구주제 4: 동맥내 재개통 치료 후 적극적 혈압 조절 치료의 영향은 여러 번 동맥내 재개통 치료를 시도하여 재개통이 된 환자가 한번의 시도로 재개통이 된 환자보다 예후가 나쁠 것임
- 기대효과
- 1) 진료지침 개발 및 변경
- 본 연구의 결과는 권고수준이 높은 근거가 될 것이며, 기존 진료지침이 변경되거나 새롭게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됨
- 2) 후속연구 가능성
-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구가 종료된 후에도 새로운 가이드라인 제시를 위해서 후속 연구 지원을 강화함. 특히, open proposal system을 이용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여 창의적인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도록 함
- 3) 타 분야 파급효과
- 뇌경색 환자에서 혈압에 관한 연구는 심장질환 환자에서 혈압 연구와 연계될 수 있음
- 본 연구에서 축적된 뇌경색 환자에서의 혈압 패러미터는 개인별 빅데이터 분석에 이용될 수 있음
- 4) 국제적 연구 허브로 성장 가능성
- 국제 협력으로 진행 중인 ACT-global 연구에 참여함으로서 뇌경색 환자 치료의 다양한 주제에 대한 무작위배정 임상연구에 참여함으로서 기존의 진료지침을 변경할 가능성을 더욱 높
힘
이 연구가 왜 필요한가요?
- 뇌경색은 뇌혈관이 막혀서 뇌손상을 초래하여 마비 등의 신경학적 증상을 초래하는 질환으로, 가능하다면 영구적인 뇌손상이 일어나기 전에 막힌 혈관을 뚫어 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입니다.
최근 동맥내 재개통술이 시행되면서 재개통율은 80%에 달하지만 실제 일상생활을 복귀할 정도로 좋아지는 환자는 50% 이하입니다.
- 현재까지 의사가 환자 진료 시 참고하는 임상진료지침에서는 뇌동맥 재개통술을 받은 환자에서 수축기 혈압을 180 mmHg, 이완기 혈압을 105 mmHg 이하로 조절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수축기 혈압이 180 mmHg 이하라도 혈압이 높은 경우 뇌출혈을 일으킬 수 있고, 반대로 혈압이 낮은 경우 뇌허혈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목표 혈압을 180 mmHg 미만으로 조절하는 것이 좋을지 140 mmHg으로 조절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다만 이전 선행 연구에서 적극적인 혈압군인 140 mmHg으로 혈압을 조절하는 것은 표준적 혈압군(140-180 mmHg)보다 더 좋지 못한 예후를 보여줬습니다.
- 선행 연구인 OPTIMAL-BP 연구는 무작위배정 임상연구로 무작위배정 임상연구의 특징상 다양한 임상상황을 반영하지 못하였습니다. 이에 연구진들은 특정 임상 상황을 상정하여 환자 맞춤형 혈압조절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이 연구는 어떤 환자에게 도움이 되나요?
- 급성 뇌경색으로 인해 동맥내 재개통 치료를 받는 환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환자분이 두개내 동맥경화 협착이 있거나,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제 투여받았거나, 정맥내 혈압약 투여가 필요한 경우 혹은 여러 차례 시도한 동맥내 재개통 환자에서 본 연구는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 연구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 선행 연구에서 급성 뇌경색으로 뇌동맥 재개통 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처음 24시간 동안 적극적 혈압조절군(수축기 혈압 140 mmHg 미만으로 조절)과 표준적 혈압조절군(수축기 혈압 140~180 mmHg으로 조절)으로 나누어서 양 군 사이의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분석하였습니다.
- 이번 연구에서는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동맥내 재개통 치료 후 적극적 혈압 조절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 네 가지로 나뉘어 분석하고자 합니다.
- 첫 번째 연구는 두개강 내 동맥 경화성 협착이 있는 환자와 색전성 폐색이 있는 환자를 구분하여 그 예후를 보고자 합니다.
- 두 번째 연구는 동맥내 재개통 치료 시행 전 정맥내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제의 투여 여부에 따라, 환자군을 정맥내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제 투여군과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제 미투여군으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합니다.
- 세 번째 연구는 약물 유발 혈압 하락 그룹, 자발적 혈압 하락군, 그리고 혈압 하락이 없는군 로 나뉘어 분석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 네 번째 연구는 여러 차례 시도한 동맥내 재개통 환자 그룹과 단 한 차례 시도한 동맥내 재개통 환자 그룹으로 나누어서 분석을 진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