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병 환자의 회복을 위한 최적화된 치료 전략 개발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
DB 활용(근거생성) |
상태 |
진행중
|
과제번호 |
RS-2024-00399506 |
연구책임자 |
김성완 |
연구기간 |
2024-04-01 ~ 2025-12-31 이내 |
연구비 |
|
연구기관 |
전남대학교병원 |
참여기관 |
-
기관목록
|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
DB 활용(근거생성) |
상태 |
진행중
|
과제번호 |
RS-2024-00399506 |
연구책임자 |
김성완 |
연구기간 |
2024-04-01 ~ 2025-12-31 이내 |
연구비 |
|
연구기관 |
전남대학교병원 |
참여기관 |
0개 기관
기관목록
|
연구배경 및 필요성
- 조현병은 주요 신체질환보다 사회경제적 부담이 큰 중증질환으로, 조기 사망률이 높고 신체질환이 병발하여 평균 수명이 15년 이상 짧음
- 조현병 환자들에게 정신사회적 중재를 통해 사회경제적 부담을 경감할 필요가 있으며, 장기 추적 연구로 최적의 치료 조건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
- 조현병의 효율적인 치료 전략 개발을 위해 근거 기반의 정신사회적 중재와 약물치료의 통합적 제공으로, 효과적인 전인적 치료 모형개발이 필요
연구목표
- 임상연구를 통해 구축된 조현병 코호트 확대와 추적 분석을 통해 조현병 환자의 회복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을 규명하여 심리사회적 중재와 약물치료가 최적화된 질병 관리 및 근거기반 정밀 의료서비스 개발
- 세부 연구목표
- 조현병의 예후와 회복 환자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예측하여 정밀의료 구현
- 정신사회적 중재의 장기 효과 및 자살위험 예측 척도의 타당성을 입증하여 근거 기반 정신사회 서비스의 확산
연구설계
- 후향적 코호트
- 각 정신사회적 중재(인지행동치료, 가족중재 등)에 대한 치료 반응을 분석하고, 반응군과 비반응군의 특성을 비교하여 중재 효과를 평가
연구방법
연구 방법 I | 자료 연계·결합 | 연계시행(✔) 해당없음( ) | 위 자료들간 연계 및 결합 |
연구 대상자 | HC19C0316 과제 중 788명 & 타 연구 과제 중 660명 (연구 참여 동의 기준) |
1 | 그룹인지행동치료 중재군 (n=116) | 조현병 범주장애 그룹인지행동치료 중재군 |
2 | 증상교육 중재군 (n=124) | 조현병 범주장애 증상교육 중재군 |
3 | 가족치료 중재군 (n=46) | 조현병 범주장애 가족치료 중재군 |
4 | 동기강화 운동치료 중재군 (n=98) | 조현병 범주장애 운동치료 중재군 |
4 | 중재프로그램 대조군 (n=123) | 조현병 범주장애 대조군 (비중재군) |
5 | 자살코호트 관찰군 (n=281) | 조현병 범주장애 자살위험도 관찰 코호트 |
결과 변수 | 1차 결과변수 | 평가 항목: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ing Scale 평가 시기: Baseline, 14 weeks, 40 weeks, 2 years |
평가 항목: Subjective Wellbeing under Neuroleptics 평가 시기: Baseline, 14 weeks, 40 weeks, 2 years |
2차 결과변수 | 평가 항목: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평가 시기: Baseline, 14 weeks, 40 weeks, 2 years |
평가 항목: Clinical Global Impression, HoNOS, C-SSRS 평가 시기: Baseline, 14 weeks, 40 weeks, 2 years |
분석 방법 | - 정신사회적 중재법 시행 전후 정신의학적 지표를 비교 분석 - 장기 추적 관찰을 통해 재발률과 회복률 산출 - 통합 DB에서 관해, 회복, 재발, 난치성 기준에 부합하는 대상자의 특성을 회귀분석 - 항정신병약물의 성공적 감량과 중단 성공 환자에 대한 특별 분석 - 각 정신사회적 중재군에 대한 반응 정도와 관련 요인을 DB 통합 및 추적 결과 반영해 분석 - 개별 혹은 복합 요인에 대한 머신러닝 분석을 통해 치료반응 및 예후 예측 - clustering analysis, network analysis, nomogram analysis |
- 2014년부터 구축된 5개의 조현병 코호트 데이터를 통합하여 장기적인 추적 관찰 데이터를 분석 및 환자의 임상적 특성과 예후를 평가할 수 있는 자료를 구축
-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환자 반응을 평가하고, 치료 반응군과 비반응군의 임상적 특성 비교 분석
- 신경인지 기능 평가와 함께 혈액 검사를 통해 생물학적 표지자(cytokine, 비타민 등)를 측정하여, 조현병 환자의 치료 반응과의 연관성을 분석
- 환자의 장기적인 경과를 관찰하여 재입원율, 증상 완화 정도, 사회적 기능 회복 등 주요 임상적 결과를 기록하고, 이를 기반으로 맞춤형 치료 전략을 개발
예상결과 및 기대효과
- 개발된 정신사회적 중재 서비스가 조현병 환자의 장기 경과에 효과적일 것임
- 정신사회적 중재의 강도와 유형에 따라 반응하는 조현병 환자군이 존재할 것임
- 생물학적 지표가 조현병 환자의 회복과 약물 감량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을 것임
- 최적화된 정신사회적 중재법 규명으로 조현병 환자의 회복에 기여할 것임
- 조현병 환자의 자살행동과 위험성을 예측하여 자살률 감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 최적의 심리사회적 중재법 및 항정신병약물 감량 전략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이 연구가 왜 필요한가요?
- 조현병은 주요 신체 질환이나 다른 정신질환보다도 사회경제적 부담이 큰 중증 질환입니다.
- 심리사회적 중재란 조현병 환자들에게 심리적, 사회적 지원을 제공하여 증상을 완화하고 생활능력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치료 방법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조현병의 높은 사회경제적 부담이 경감될 수 있어 근거기반의 중재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만성 질환인 조현병은 오랜 기간에 걸쳐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에 조현병 환자들을 장기적으로 추적 조사하여, 심리사회적 중재가 어떤 환경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작동하는지를 찾는 것이 필요합니다.
- 정신사회적 중재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전략 개발도 필요합니다.
이 연구는 어떤 환자에게 도움이 되나요?
- 조현병으로 치료 중인 환자
- 중증정신질환으로 치료 중인 환자 중 정신사회적 중재가 필요하거나 희망하는 환자
- 정신건강복지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종사자
이 연구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 조현병 환자 대상 심리사회적 중재(인지행동치료, 가족중재, 질병교육, 운동 등) 효과를 평가하고 분석
-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분석을 통해 최적화된 심리사회적 중재 전략 도출
- 조현병 회복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 규명
- 조현병 환자의 자살위험성과 관련된 요인 규명
연구결과가 나오면 어떻게 활용할 수 있나요?
- 조현병 환자에 대한 근거기반 심리사회적 중재법 적용
- 최적의 심리사회적 중재 전략 적용
- 항정신병약물 감량 시 활용
- 조현병 환자의 자살 예방 전략
- 지역사회 정신건강복지센터와 정신의료기관에서 개발된 심리사회적 중재법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