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top
패혈성 쇼크 환자 대상 혈관수축제 및 스테로이드 적정 투여 시점에 대한 근거 생성 연구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DB 활용(비교평가) 상태 진행중
과제번호 RS-2024-00398566 연구책임자 신태건
연구기간 2024-04-01 ~ 2025-12-31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삼성서울병원 참여기관 -
기관목록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DB 활용(비교평가)
상태 진행중
과제번호 RS-2024-00398566
연구책임자 신태건
연구기간 2024-04-01 ~ 2025-12-31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삼성서울병원
참여기관 0개 기관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보기
기관목록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배경 및 필요성
  • 패혈증은 감염에 저항하는 인체 반응이 적절히 조절되지 않아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장기의 기능 저하가 유발되는 상태임. 고령화 및 기저질환이 많은 환자의 증가로 인해 패혈증의 발생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사망률은 약 10%, 패혈성 쇼크로 진행할 경우 40%에 달함
  • 패혈증 및 패혈성 쇼크의 주요 치료는 신속한 감염의 치료(항생제 투여, 감염원 제거)와 적절한 혈역학적 치료(수액투여 및 혈관수축제), 인체 반응의 조절(스테로이드 투여)이 있음
  • 이중 혈관수축제 및 스테로이드는 패혈성 쇼크의 주요 치료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적절한 투여 시점과 용량 및 기간 등에 대한 근거가 부족한 상태임
  • 따라서, 임상 현장에 적용 가능하고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치료법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함
연구목표
  • 패혈성 쇼크 환자의 혈관수축제 및 스테로이드 투여의 적정 시점에 관한 근거를 창출하여 패혈성 쇼크 환자의 예후 향상에 기여
  • 세부 연구목표
    • 패혈성 쇼크 환자에서 1차 및 2차 혈관수축제 투여 시점에 따른 예후를 조사하고 적정 시점에 대한 근거를 도출
    • 패혈성 쇼크 환자에서 스테로이드 투여 여부 및 시점에 따른 예후를 조사하고 적정 시점에 대한 근거를 도출
    • 혈관수축제 및 스테로이드 조기 투여의 치료적 이득이 있는 환자군을 탐색하여 개별화된 치료 전략 도출
    • 혈관수축제 및 스테로이드 투여 시점에 관한 선도적 임상시험 기반 마련
    • 국내 패혈성 쇼크 치료 현황과 문제점을 조사하고 치료의 질 향상에 기여
연구설계
  • 후향적 코호트 연구
연구방법
  • 연구방법 1: DB 1차 분석

연구

방법

I

활용자료원

대한쇼크연구회 패혈성쇼크 전향적 레지스트리

자료 연계·결합

연계시행( ) 해당없음()

연구대상자

성인 패혈성 쇼크 환자 (10,041)

중재/환자군

1

1차 및 2차 혈관 수축제, 스테로이드 조기투여군

노프에피네프린, 바소프레신 및 스테로이드를 적정 시간 이내 투여 한 군 (적정 시간 탐색 연구 및 시간 정의를 달리하여 비교 분석)

비교군

2

1차 및 2차 혈관 수축제, 스테로이드 지연투여군

노프에피네프린, 바소프레신 및 스테로이드 투여가 지연된 군

결과변수

1차 결과변수

28일 사망률

2차 결과변수

병원 사망률, 90일 사망률, 중환자실 체류기간, 인공호흡기 사용기간, 병원 재원기간 등

연구

방법

II

DB 2차자료

- Propensity score matching Generalized mixed model 등 활용한 관찰 연구

- 투여 시간과 예후 평가 인자의 상관 관계 분석 및 적정 시간 탐색

- 조기 투여와 지연 투여에 따른 예후 평가 인자 차이, 스테로이드 투여 여부에 따른 비교분석

- 혈관수축제 또는 스테로이드 투여 필요의 위험 인자를 조사

- 중증도 및 선별 위험도에 따라서 투여 시점과 예후 평가인자의 상관 관계를 분석

DB 관련 추가 임상 정보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통한 연구 주제 확장

  • 연구방법 2: 2차 자료원 분석
    • DB 1차 분석 결과에 대한 비교 검증 목적임
    • 국내 일 병원 공통데이터모델 활용 및 대한쇼크연구회 참여 기관 CDM으로 확장 분석
    • 해외 패혈증 데이터로서 MIMIC-Ⅳ 중환자실 및 응급실 데이터 활용
  • 연구방법 3: 체계적 문헌고찰
    • PRISMA 가이드라인에 따라 1차 및 2차 혈관수축제, 스테로이드 투여 시점 및 여부에 관련한 임상 질문에 따른 체계적 문헌 고찰 연구
  • 연구방법 4: 다학제 전문가 설문 조사
    • 혈관수축제 및 스테로이드 투여를 포함한 패혈성 쇼크 치료의 국내 현황, 문제점, 개선 방향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유관단체 전문의 대상으로 조사
    • 간담회, 원탁회의 등을 통해 합의문 도출 및 공청회 개최
예상결과 및 기대효과
  • 예상결과
    • 다기관 데이터베이스, 2차 자료원 및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1차 및 2차 혈관수축제, 스테로이드 투여 시점 및 여부에 따른 예후의 비교 결과 보고, 조기 투여 효과 검증 및 전문가 의견 보고
  • 기대효과
    • 혈관수축제 및 스테로이드의 치료적 이득이 있는 환자군 선별 및 최적의 투여시점 도출을 통해 근거 기반 치료 가이드라인 제시
    • 혈관수축제 및 스테로이드의 투여 여부, 시점을 분석하여 약물로 인한 부작용을 감소시키고, 패혈증 환자의 생존율 향상 및 이환율 감소에 기여
    • 국내 중증 응급의료의 진료 및 연구 발전에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