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과제명 : 요추부 추간판 탈출증 및 척추관 협착증에서 최소침습 내시경 수술과 고식적 수술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전향적, 무작위 배정, 평가자 눈가림, 다기관 연구
□ 연구책임자(기관) : 박상민(분당서울대학교병원)
□ 영상설명
- 허리디스크가 걸리면 어떤 수술을 받아야 할까요? - 우리나라 척주 질환자는 2018년 한해에만 약 363만명이 진료하여 급격히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척추 수술건수도 매년 늘어나지만, 특히 내시경 하 척추 수술 건수는 급격히우리 늘어나는 추세로, 내시경 하 척추 수술 건 수는 전년도 대비 41.3% 증가 (5,108건 → 7,218 건) 같은 기간 고식적 척추 수술 증가 건수 대비 증가세가 두드러집니다. (전년 대비 2.4% 증가) - 우리나라의 척추 내시경 수술은 전세계적으로 유명하며, 최고의 기술을 가지고 있지만 정작 우리나라에서 제도적인 한계때문에 기존 고식적 수술에 비해 많이 활용하고 있지 못하며 전향적 무작위 연구가 아직 적어 제도적 한계를 뚫지 못하고 있습니다. - 척추질환의 증가에 따라 척추 수술이 증가하고 있지만 적절한 치료 가이드라인이 없어 의사마다 치료법이 정립되어 있지 않습니다. 또한 내시경 수술은 아직 보험급여가 모든 환자에게 이루어지고 있지않아 선택적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기존 고식적 수술에 대한 환자들의 부정적인 인식이 많아 척추 수술에 대한 정확한 근거확립과 인식에 대한 변화가 필요합니다.
<국문 동영상>
<영문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