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top
장애인 건강 및 의료접근성 평가를 통한 장애인 중심 지역사회 보건의료모델 개발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후향연구(비교평가) 상태 진행중
과제번호 HC23C0165 연구책임자 박종혁
연구기간 2023-04-01 ~ 2024-12-31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충북대학교 참여기관 -
기관목록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후향연구(비교평가)
상태 진행중
과제번호 HC23C0165
연구책임자 박종혁
연구기간 2023-04-01 ~ 2024-12-31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충북대학교
참여기관 0개 기관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보기
기관목록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배경 및 필요성
  • 장애인구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의학적 모델이 아닌 사회적 모델 개념에서의 장애인구 추계시 약 1천만 명임
  • 비장애인 대비 장애인은 높은 이차장애 및 사망위험을 가지고 있고, 장애인의 건강은 ‘동적인 상태’이므로 지속적인 건강관리는 필수임
  • 장애인의 건강증진 및 건강불평등 해소를 위한 법제도 마련 및 보건의료정책이 도입되고 있으나, 여전히 잘 작동되지 않는 장애인 보건관리전달체계로 인해 구체적인 대안 및 방안 모색이 필요함
  • 특히, 장애 특성에 기반을 둔 장애인 건강결과 및 의료접근성 관련 연구가 보강될 필요가 있으며, 이 과정에서 장애인의 연구 참여가 보장되어야 함
  • 위를 바탕으로, 장애인의 성공적인 지역사회 복귀를 위한 보건의료모델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음
연구목표
  • 장애인 빅데이터 구축 및 장애인 당사자의 연구참여를 통해 이들의 건강결과 및 의료접근성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장애인 중심의 지역사회 보건의료모델 개발하고자 함
  • 세부 연구목표
    • 장애인 중심의 지역사회 보건의료모델에 대한 이론적 권고모형 및 개념적 틀 고찰
    • 문헌고찰을 통한 장애인의 건강결과 및 의료접근성 관련요인 도출
    • 장애유형별 장애인단체 자문을 통한 장애인의 건강관리 및 의료접근성 관련 주요이슈 도출
    • 다기관 이차자료 연계를 통한 장애인 코호트 구축
    • 장기추적관찰이 가능한 패널자료 구축
    • 다학제적 전문가 자문위원회 구성을 통한 연구의 질적수준 향상
    • 장애인 건강관리 및 의료접근성 주요이슈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조작적 정의
    • 조작적 정의에 근거한 단면적/종단적 장애인 빅데이터 분석
    • 빅데이터 분석결과의 다각적/다층적 해석 - 장애인 중심의 지역사회 보건의료 모델 개발
연구설계
  • 후향적 코호트, 질적 연구
연구방법

연구

방법

I

연구

설계

이차자료를 활용한 후향적 코호트 연구

- 장기추적관찰이 가능하도록 2002년부터 2021년까지 약 20년간 데이터를 연계 및 활용하여 코호트 구축하고자 함.

연구

대상자

국민건강보험공단 피보험자 자격자료와 연계하여 장애인(case) 자료를 구축하고, 이에 대한 대조군(control)은 아래와 같이 설정

- 동일년도 비장애인 전수: 실제적인 핵심지표에 대한 조율(crude) 및 연령표준화율 산출

- , 연령, 보험료를 기준으로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장애인(case)과 대조군(control)1:2로 매칭

장애인과 대조군(비장애인)의 건강결과 및 의료이용을 파악할 수 있는 건강보험급여 및 검진자료, 요양기관 자료를 개인식별 아이디 기준으로 통계청 사망자료와 병합

중재/

환자군

1

장애인

장애유형, 장애등급, 장애중증도, 복합장애 유무, 장애진단일 등을 반영한 국내 장애인 등록자

비교군

2

비장애인

-

결과

변수

건강결과

사망여부(Disease Specific Mortality), 이차장애 발생(합병증, 이차암 발생 등)

의료접근성

의료비 증감률(진료비, 급여일수 등), 의료이용 증감률(장애특성별, 질환별 증감 등)

연구

방법

II

연구

설계

질적연구: 장애인협회 등 장애인 당사자와의 그룹인터뷰 및 원탁회의를 통한 의견수렴

- 장애인 당사자 포커스그룹인터뷰(FGI)

- 장애인 당사자 및 전문가 원탁회의

연구

내용

장애유형별 건강관리에서의 어려움, 지역사회 내 보건서비스 관련 니즈 등에 대한 의견청취를 통해 시사점 도출

장애인 당사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한 장애인 건강결과 및 의료접근성 개선을 위한 보건의료모델 안에 대한 의견 청취 

예상결과 및 기대효과
  • 예상 연구결과
    • HP2030 중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주요지표(건강검진, 구강검진, 흡연, 운동, 비만, 고혈 압, 당뇨, 골다공증, 정신건강 등)의 경우 장애인건강권법 시행(2017년) 이후 지표가 개선되었을 것임
    • 하지만 HP2030에서 정의한 주요지표 외 질환의 경우 여전히 건강지표가 좋지 못할 것이며 장애인건강권법에 정의된 장애인 보건의료전달체계는 잘 작동되지 못하고 있을 것임
    • 장애와 건강 전주기 중 급성기 재활의 영역은 2017년 이후 다소 개선되었으나, 전환기(회복기) 및 유지기에 해당하는 영역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았을 것임
    • 만성질환, 건강행태, 의료이용 등 전반적인 지표가 여전히 비장애인 대비 좋지 못할 것이며 경증장애인의 건강결과 및 의료접근성은 다소 개선되었으나 중증장애인은 여전히 좋지 못할 것임
    • 장애인 거주 지역 내에 보건의료자원(장애친화건강검진병원, 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 장애친화산부인과, 장애인구강진료센터 등) 유무, 장애특성(중증도 및 장애유형), 연령, 성별 등에 따라 장애인의 건강결과 및 의료접근성에 차이가 있을 것임
  •  

  • 연구의 의의 및 활용방안
    • 국내 장애인의 건강결과, 의료접근성의 문제점과 영향요인 규명을 통해 장애인의 건강관리를 위한 국제적 수준의 예측지표 및 결과 도출
    • 국내 장애인의 체계적인 건강관리를 위해 임상의, 빅데이터 전문가 등의 자문위원회를 거쳐 장애특성 및 데이터 특성에 따른 장애인의 건강결과 및 의료접근성 지표 항목을 선별하고, 임상적 지침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방향을 설정함으로써 장애인의 지역사회중심 보건의료모델 개선 도모
    • 장애인의 의료접근성과 건강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여 장애인의 건강관리및 의료접근성 향상을 위한 근거와 표준 가이드라인을 구축하여, 장애인의 삶의 질 개선을 도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