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후향연구(비교평가) | 상태 | 진행중 |
---|---|---|---|
과제번호 | HC23C0114 | 연구책임자 | 고현선 |
연구기간 | 2023-04-01 ~ 2025-06-30 이내 | 연구비 | |
연구기관 | 가톨릭대학교 | 참여기관 | - |
구분 | 후향연구(비교평가) |
---|---|
상태 | 진행중 |
과제번호 | HC23C0114 |
연구책임자 | 고현선 |
연구기간 | 2023-04-01 ~ 2025-06-30 이내 |
연구비 | |
연구기관 | 가톨릭대학교 |
참여기관 | 0개 기관 |
구분 | 후향연구(비교평가) | 상태 | 진행중 |
---|---|---|---|
과제번호 | HC23C0114 | 연구책임자 | 고현선 |
연구기간 | 2023-04-01 ~ 2025-06-30 이내 | 연구비 | |
연구기관 | 가톨릭대학교 | 참여기관 | - |
구분 | 후향연구(비교평가) |
---|---|
상태 | 진행중 |
과제번호 | HC23C0114 |
연구책임자 | 고현선 |
연구기간 | 2023-04-01 ~ 2025-06-30 이내 |
연구비 | |
연구기관 | 가톨릭대학교 |
참여기관 | 0개 기관 |
연구방법 I | 연구설계 | 후향적 코호트(병원데이터1-주산기 및 장기 예후분석) | ||||
연구가설 | 임신중 당조절군에서 신생아불량예후가 감소할 것이다. | |||||
연구 대상자 | 현성당뇨임신분만부 및 해당 출생아, 1,000명 | |||||
중재/환자군 | 1 | 조절군(n=660명예상) | 임신기간 중 당 수치 (HbA1c < 6.5%) | |||
비교군 | 2 | 비조절군 (n=340명 예상) | 임신기간 중 당 수치 (HbA1c ≥ 6.5%) | |||
결과변수 | 1차 결과변수 | ○ 신생아 불량예후 (조산, 거대아, 호흡부전, 광선치료, 사산, 신생아사망, 견갑난산, 분만손상 중 하나) | ||||
2차 결과변수 | ○ 임산부 불량예후 (임신성고혈압) | |||||
연구방법 Ⅱ | 연구설계 | 후향적 코호트 (병원데이터2-자궁수축억제제 합병증 분석) | ||||
연구가설 | beta2 agonist 제제 사용군이 oxytocin antagonist 와 calcium channerl blocker 제제 사용군에 에 비하여 산모 고혈당 발생비율이 더 높을 것이다. | |||||
연구 대상자 | 임신당뇨병분만부 중 임신 34주 이전 조기진통으로 입원치료를 받은 여성 및 해당 출생아 | |||||
중재/환자군 | 1 | 억제제 1 (n=200) | ritodrine (beta-agonist) | |||
비교군 | 2 | 억제제 2 (n=100) | atosiban (oxytocin antagonist) | |||
비교군 | 3 | 억제제 3 (n=100) | nifedipine (calcium channel blocker) | |||
결과변수 | 1차 결과변수 | ○자궁수축억제제 종류에 따른 임신성당뇨인 산모에서 산모 고혈당/ 신생아 저혈당비율 비교 | ||||
2차 결과변수 | ○ 자궁수축억제제 종류에 따른 공복 및 식후 혈당수치, 분만시재태연령, 조산비율, 제왕절개분만, 신생아 출생체중, 약제 부작용 같은 기타 산과 결과 평가 | |||||
연구방법 Ⅲ | 연구설계 | 후향적 코호트 (의료빅데이터-건강검진+건강보험청구자료+영유아검진) | ||||
연구 대상자 | 2011-2020 기간동안 분만한 모든 산모 및 해당출생아 (중 건강검진과 영유아검진을 받은 경우), 약 340만명 (의료빅데이터-건강검진+건강보험청구자료+영유아검진) | |||||
결과변수 | ○ 주산기 합병증 ○ 당뇨합병 유무에 따른 임신부의 장기 합병증 (고혈압, 심뇌혈관 등) 발생 위험 분석 ○ 영유아검진 데이터 연계를 통해 당뇨합병 유무에 따른 신생아 장기 예후 (인지장애, 발달장애, 자폐증 등) 발생 위험 분석 | |||||
연구방법 Ⅳ | 연구설계 | 후향적 코호트 (병원데이터+의료빅데이터) | ||||
연구 대상자 | ○ 2010-2021년기간동안 2,3차 병원 연구기관에서 분만한 현성당뇨산모 및 해당출생아 (중 2010-2022기간동안 건강검진과 영유아검진을 받은 경우), 약 1,000명 | |||||
결과변수 | ○ 주산기 합병증 당뇨합병 유무에 따른 임신부의 장기 합병증 (고혈압, 심뇌혈관 등) 발생 위험 분석 ○ 영유아검진 데이터 연계를 통해 당뇨합병 유무에 따른 신생아 장기 예후 (인지장애, 발달장애, 자폐증 등) 발생 위험 분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