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top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4대 중증질환자의 보건의료자원 이용에 대한 영향 및 부수적 피해 평가 연구: 의료기관 및 대규모 보건의료 빅데이터 후향적 코호트 연구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감염병 후향 상태 종료
과제번호 HC20C0005 연구책임자 김범석
연구기간 2020-09-07 ~ 2022-09-06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서울대병원 참여기관 -
기관목록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감염병 후향
상태 종료
과제번호 HC20C0005
연구책임자 김범석
연구기간 2020-09-07 ~ 2022-09-06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서울대병원
참여기관 0개 기관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보기
기관목록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배경 및 필요성
  • 문제의 내용과 크기(질환의 사회적 부담, 비용 등)
    • 중증질환의 질병 부담이 큼. 한국인의 주요 사망원인이며 고령화의 영향으로 유병률이 높고, 발생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 시행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중증질환으로 인한 의료비 지출이 큼.
    • 4대 중증질환의 효과적 관리에 보건의료자원 이용의 접근성이 중요함. 돌봄의 연속성, 적시성이 중요하며 보건의료자원 이용의 욕구가 높음. 주로 대도시 상급종합병원에 분포가 쏠려 있음.
    • 신종 감염병으로 인한 보건의료체계 마비와 보건의료자원 이용의 문제가 야기됨. 보건의료자원 이용의 불균형으로 인한 부수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음.
    • 코로나19 대유행으로 국내 보건의료자원 이용이 영향을 받음.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활동 반경 제한으로 검진 수요가 감소함. 메르스 때와 동일한 의료기관 폐쇄 기준과 코로나19 유사 증상 혹은 입원, 전원 시 코로나19 검사 의무화로 인한 의료 이용이 제한됨.
  • 중재에 대한 주요 선행근거 및 한계점
    • 국외 연구결과, 코로나19 대유행 시에도 중증질환자의 보건의료자원 이용 필요도는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실제 중증질환자의 보건의료 이용이 줄어드는 추세를 보임.
    • 국내에서는 신종플루와 메르스를 겪으며 응급의료시스템이나 공공병원 역량 등에 대한 연구가 있으나, 신종 감염병으로 인한 부수적 피해에 대한 개념이 잘 정립되어 있지 않고, 비감염성 질환, 특히 중증질환이 어떻게 영향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재함.
  • 본 연구의 필요성
    • 코로나19 유행과 함께 중증질환자의 보건의료자원 이용 불균형으로 인한 부수적 피해가 예상되며, 대유행 상황이 악화되어 보건의료체계의 역치를 넘어서는 경우 이러한 피해가 더 가중될 것으로 예상됨.
    • 보건의료와 돌봄의 연속성을 고려한 보건의료자원 이용의 불균형과 부수적 피해에 대한 전체적이고 체계적인 조사의 중요성이 도출됨.
    • 중증질환자의 보건의료자원 이용과 부수적 피해 현황을 파악하고 근거를 생성하여, 균형적 이용 촉진과 부수적 피해 해결 및 예방에 대한 정책적 대안,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함.
연구목표
  • 신종 감염병 대유행 시기에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에 해당하는 4대 중증질환(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희귀난치질환)을 가진 환자의 보건의료자원 이용 현황을 파악하고,
  • 4대 중증질환자의 보건의료자원 이용 불균형으로 인한 부수적 피해 현황 분석을 통해 임상근거를 마련하여
  • 이를 개선하여 신종 감염병 대유행 시기에 감염병 대응체계와 함께 4대 중증질환자를 안전하게 진료, 관리할 수 있는 전략과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연구설계
  • 후향적 코호트 연구
연구방법
  1. 의료기관 자료를 이용한 암환자의 보건의료자원 이용 현황 및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부수적 피해 평가 연구
    • 주요내용
      • 종 감염병 대유행으로 인한 부수적 피해 개념을 정립함. 사례 및 문헌조사를 통해 중증질환자의 신종 감염병 대유행으로 인한 부수적 피해를 3단계로 도출함.
      • 코로나19 유행 이전(2019년 1월~12월)과 이후(2020년 1월~12월) 의료기관 암환자의 보건의료자원 이용 파악을 위한 코호트 구축 및 자료 수집을 함. 도출한 신종 감염병 부수적 피해 3단계에 맞추어 암환자 보건의료자원 이용 지표를 확정함.
      • 코로나19 유행 전후 의료기관 암환자의 보건의료자원 이용 현황을 비교 분석함. 3개집단(암환자/환자가족/의료진) 설문조사를 통해 현장에서의 부수적 피해를 조사하고 관련 요인을 평가함.
      •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의료기관 암환자의 부수적 피해를 도출하고 전문가 의료진 인터뷰를 통한 전략 및 정책방안을 도출함.
    • 일차결과변수 및 이차결과변수
      • 차결과변수 : 외래 암환자 신환 수, 외래 암환자 재진 방문율(재진 부도율), 암환자 입원 재원 일수 및 평균 의료비, 암환자 응급실 방문 횟수, 원내 암환자 사망자 수 및 비율, 말기 암환자 호스피스 이용 비율
      • 이차결과변수 : 외래 암환자 전체 진료 건수, 예정된 암환자 입원 지연 일수, 암 관련 혹은 암 치료 합병증(감염, 출혈 등)으로 인한 응급실 방문 횟수, 응급실 암환자 중증 응급도 비중, 원내사망 말기암환자 사망 전 공격적 치료 (사망 1개월 전 중환자실 입실, 심폐소생술, 인공호흡기, 혈액투석 치료) 시행 비율, 원내사망 암환자 연명의료결정 자기결정 비율
  2. 의료기관 자료를 이용한 심장질환자의 보건의료자원 이용 현황 및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부수적 피해 평가 연구
    • 주요내용
      • 코로나19 유행 이전(2019년 1월~12월)과 이후(2020년 1월~12월) 의료기관 심장질환자 보건의료자원 이용 파악을 위한 코호트 구축 및 자료 수집을 함. 도출한 신종 감염병 부수적 피해 3단계에 맞추어 심장질환자 보건의료자원 이용 지표를 확정함.
      • 코로나19 유행 전후 의료기관 심장질환자 보건의료자원 이용 현황을 비교 분석함. 3개집단(심장질환자/환자가족/의료진) 설문조사를 통해 현장에서의 부수적 피해를 조사하고 관련 요인을 평가함.
      •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의료기관 심장질환자의 부수적 피해를 도출하고 전문가 의료진 인터뷰를 통한 전략 및 정책방안을 도출함.
    • 일차결과변수 및 이차결과변수
      • 일차결과변수 : 외래 심혈관질환자 신환 수, 외래 심혈관질환자 재진 방문율 (재진 부도율), 심혈관질환자 입원 재원 일수 및 평균 의료비, 입원 심혈관질환자 상병별 비율, 심혈관질환자 응급실 방문 횟수, 심혈관질환자 응급실 방문 후 타원 전원 건수, 원내 심혈관질환자 사망자 수 및 비율, 심혈관질환 관련 전체 시술/수술 건수 및 대기 시간
      • 이차결과변수 : 외래 심혈관질환자 전체 진료 건수, 외래 심혈관질환자 경증 환자 비중, 영상/기능 검사 부도율 혹은 지연 일수, 예정된 심혈관질환자 입원 지연 일수, 심혈관질환 급성 악화로 인한 응급실 방문 횟수, 심혈관질환 치료 합병증(출혈 등)으로 인한 응급실 방문 횟수, 심혈관질환자 응급실 반복 방문 횟수, 응급실 심혈관질환자 중증 응급도 비중, 심혈관질환 개별 시술/수술 현황 및 대기 시간, 심혈관질환 시술과 수술의 상대적 비율
  3.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4대 중증질환자의 보건의료자원 이용 현황 및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부수적 피해 평가 연구
    • 주요내용
      • 코로나19 유행 이전(2019년 1월~12월)과 이후(2020년 1월~12월) 국민건강보험공단 4대 중증질환자 코호트 구축 및 데이터를 수집함. 신종 감염병 부수적 피해 3단계에 맞추어 4대 중증질환자의 보건의료자원 이용 지표를 확정함.
      • 코로나19 유행 전후 국민건강보험공단 4대 중증질환자 보건의료자원 이용 현황을 비교분석하고,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전국민 4대 중증질환자의 부수적 피해를 도출함.
    • 일차결과변수 및 이차결과변수
      • 일차결과변수 : 신규환자 수, 사망자 수, 응급실 이용 건수, 의료비
      • 이차결과변수 : (암 세부지표) 암검진 수검율, 호스피스 이용률, (심장질환 세부지표) 심장질환 관련 합병증 지표
예상결과 및 기대효과
  • 임상적
    • 증질환자의 보건의료자원 이용 및 접근성 장애 요인을 파악하여, 근거에 입각한 효과적인 진료 향상 방안을 제공할 수 있음. 이를 통해 중증질환자의 생존율 저하를 막을 수 있고, 삶의 질을 높게 유지할 수 있음.
    • 중증질환자와 가족이 겪을 수 있는 심리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적응을 도우며 만족도를 향상시켜, 연속적인 질환 관리의 질 유지와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
    • 중증질환자를 진료하는 의료진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고 소진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음. 또한 윤리적 갈등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음.
    • 신종 감염병 대유행 시 적정 진료에 대한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4대 중증질환 진료 및 관리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함.
  • 정책적
    • 정책 방안은 의료기관뿐 아니라 지역의료기관을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 및 국가 차원에도 적용 및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서는 국제사회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임.
    • 근거에 기반을 둔 효율적인 보건의료자원 이용으로 불필요한 의료비가 절감되어 국가 보건의료재정 건전화에 기여할 것임.
  • 사회적
    • 신종 감염병 대유행으로 인한 잠재적 의료이용 접근성 저하에 대한 국민의 불안 감소에 기여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