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top
한국인 당뇨병에서 연속혈당측정기 사용 기반 혈당 패턴 분석 및 1형 당뇨병의 목표 혈당 지표의 최적화 연구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DB 활용(근거생성) 상태 진행중
과제번호 RS-2024-00399025 연구책임자 김규리
연구기간 2024-04-01 ~ 2025-03-31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삼성서울병원 참여기관 -
기관목록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DB 활용(근거생성)
상태 진행중
과제번호 RS-2024-00399025
연구책임자 김규리
연구기간 2024-04-01 ~ 2025-03-31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삼성서울병원
참여기관 0개 기관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보기
기관목록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배경 및 필요성
  • 한국인 당뇨병 환자는 서양인과 달리 체질량 지수가 낮고, 인슐린 분비 능력이 적으며, 고탄수 식단으로 인한 식후 혈당 상승이 두드러진다.
  • 한국의 당뇨 환자, 특히 1형 당뇨의 경우 연속 혈당측정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지만, 주로 해외 기준 및 데이터에 의존하고 있다. 한국인에 특화된 데이터가 부족하므로, 국내 당뇨병 환자를 위한 맞춤형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연구목표
  • 1형 당뇨병 환자 및 인슐린 치료를 받는 2형 당뇨병 환자들의 혈당 패턴을 분석하여, 연속혈당측정기를 활용한 최적의 혈당 관리 지표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세부 연구목표
    • 1형 당뇨병 환자, 인슐린 치료를 받는 2형 당뇨병 환자, 경구약제를 사용하는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연속혈당측정의 혈당 패턴 분석 및 혈당데이터의 혈당 지표 Core metrics 간의 상관관계 분석
    • 당화혈색소, 인슐린 분비능 및 인슐린 저항성에 따른 연속혈당측정 혈당데이터의 혈당 지표의 카테고리화
    • 1형 당뇨병에서 연속혈당측정 혈당데이터의 혈당 지표와 당뇨병 미세혈관 합병증의 상관 관계 규명 및 최적의 목표 혈당 지표 제시
    • 환자 및 관련 전문가 자문을 거쳐 연속혈당측정기 사용 시 한국인 1형 당뇨병에서 최적의 혈당 지표 및 한국인 당뇨병에서의 연속혈당데이터 활용의 최적화 방안 제시
연구설계
  • 후향적 코호트 연구
  • 전향 및 후향 데이터를 활용한 혼합 코호트 연구로, 한국인 당뇨병 환자(1형ㆍ2형)의 연속혈당측정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혈당 조절 최적화 방안을 제시
  • 전향적 1형 당뇨병 환자의 연속혈당측정 DB와 후향적 다기관 당뇨병 환자의 연속혈당측정 DB 결합
  • 연속혈당측정기 기반 1형, 2형 당뇨병의 인슐린 사용자, 경구혈당강하제 사용자의 혈당 패턴 차이 분석, 미세당뇨병 합병증의 발생 및 연속혈당지표의 관계 분석
연구방법

연구방법 I

연구설계

전향적 1형 당뇨병 환자의 연속혈당측정 DB와 후향적 다기관 당뇨병 환자의 연속혈당측정 DB 결합

연구내용

연속혈당측정기 기반 1, 2형 당뇨병의 인슐린 사용자, 경구혈당강하제 사용자의 혈당 패턴 차이 분석, 미세당뇨병 합병증의 발생과 연속혈당지표의 관계 분석

연구결과

1형 당뇨병 환자, 인슐린 치료를 받는 2형 당뇨병 환자, 경구약제를 사용하는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연속혈당측정의 혈당 패턴 및 최적의 목표 연속혈당지표 확인

  • 연속혈당측정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혈당 패턴을 분석하며, 1형 당뇨병 및 인슐린 치료 환자에게 맞춤형 인슐린 조정 프로그램을 제공. 경구약제 사용 환자에게는 식후 혈당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약제 조정을 실시
  • 대규모 임상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고, CGM 데이터를 통해 혈당 지표와 당화혈색소 및 합병증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
  • 연구는 총 21개월 동안 진행되며, 주요 평가 시점은 6개월, 12개월, 18개월. 각 시점에서 혈당 지표와 합병증 발생 여부를 평가
  • 혈당 변동성 감소, 당화혈색소(HbA1c) 감소, 주요 합병증 발생률 감소 등을 주요 성과지표로 설정하고,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연구의 타당성을 지속적으로 검토
예상결과 및 기대효과
  • 한국인 당뇨병에서 연속혈당측정기 기반 혈당데이터의 1형ㆍ2형 및 약제에 따른 혈당 패턴의 분석
  • 연속혈당측정기 기반 1형 당뇨병 환자에서 미세당뇨병 합병증 발생 예방을 위한 한국인 적합 최적의 목표 연속혈당지표 제시
  • 한국인 당뇨병 환자들에게 맞춤형 연속혈당지표를 정립하여 임상진료에 적용하고, 효율적인 혈당 관리 및 합병증 예방 효과를 기대
  • 당뇨병 관리의 효율화로 사회경제적 비용 절감 및 한국형 혈당 조절 솔루션의 개발과 관련 기술 발전이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