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톤펌프억제제의 투여에서 고가스트린혈증 유발 요인에 대한 DB분석 연구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
DB 활용(근거생성) |
상태 |
진행중
|
과제번호 |
RS-2024-00355608 |
연구책임자 |
이광재 |
연구기간 |
2024-04-01 ~ 2025-03-31 이내 |
연구비 |
|
연구기관 |
아주대학교 |
참여기관 |
-
기관목록
|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
DB 활용(근거생성) |
상태 |
진행중
|
과제번호 |
RS-2024-00355608 |
연구책임자 |
이광재 |
연구기간 |
2024-04-01 ~ 2025-03-31 이내 |
연구비 |
|
연구기관 |
아주대학교 |
참여기관 |
0개 기관
기관목록
|
연구배경 및 필요성
- 프로톤펌프억제제는 위산분비를 억제하는 약물로 특히 위식도역류질환의 유지치료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에 의한 위장관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서 장기간 지속적으로 처방되고 있음
- 프로톤펌프억제제의 장기 투여는 골다공증, 위장관 감염, 폐렴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으나 명확한 결론이 나지 못했음
- 프로톤펌프억제제의 투여와 관련하여 고가스트린혈증 유발과 관련된 요인들을 밝힐 수 있으면 위암 발생 고위험군을 구분하거나 위암발생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투여법을 선택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이에 프로톤펌프억제제의 투여에서 고가스트린혈증 유발 요인에 대한 연구를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으로 시행한 위식도역류질환 유지요법 연구 DB를 활용해서 수행하고자 함
연구목표
- 프로톤펌프억제제를 사용한 장기 유지치료는 안전한가? 라는 연구질문에 대한 답을 얻고자 프로톤펌프억제제 장기투여와 위암 발생 증가와의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을 하고 전향적 연구 DB를 활용해서 고가스트린혈증 유발 요인을 찾고자 함
- 세부 연구목표
- 동아시아에서의 프로톤펌프억제제 장기 투여가 위암 발생의 증가와 유의한 관련이 있는가?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기존에 발표된 논문들을 선정해서 메타분석을 시행하고 특히 위암 발생률이 높은 동아시아에서의 위험도를 알아보고자 함
- 위식도역류질환에서 6개월간 프로톤펌프억제제 유지치료를 시행하였던 전향적 임상연구의 DB를 활용해서 프로톤펌프억제제 장기간 유지요법에서 위암 발생과 연관될 수 있는 가스트린의 혈중 수치 증가 혹은 고가스트린혈증 발생의 위험인자를 찾아 보고자 함
연구설계
- 연구 1: 후향적 코호트 연구
- 연구 2: 체계적 문헌고찰(메타분석)
연구방법
활용자료원 | KCT0005281: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및 경도의 미란성 식도염 환자에서 프로톤펌프억제제를 이용한 지속 복용법과 필요시 복용법 간의 비교 평가를 위한 무작위배정 다기관 임상연구(iCReaT C200028 과제) |
자료 연계·결합 | 연계시행( ) 해당없음(✔) |
연구대상자 |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및 경도의 미란성 식도염으로 내원한 환자에게 초치료 판토프라졸 40 mg 4주 투약 후 증상이 호전된 피험자에서 무작위배정을 통해 판토프라졸 20 mg 지속 복용군 또는 필요시 복용군으로 1:1로 배정한 뒤 배정된 복용법에 따라 유지치료를 최대 24주 간 시행한 군 - 중재/환자군: 지속 치료군(n=151), 프로톤펌프억제제를 유지기간동안에 매일 지속적으로 투여한 군 - 비교군: 필요시 치료군(n=153), 프로톤펌프억제제를 유지기간동안에 증상이 있을 때만 증상이 호전될 때까지 수일 투여한 군 |
중재/환자군 | 1 | 지속 치료군(n=151) | 프로톤펌프억제제를 유지기간동안에 매일 지속적으로 투여한 군 |
비교군 | 2 | 필요시 치료군(n=153) | 프로톤펌프억제제를 유지기간동안에 증상이 있을 때만 증상이 호전될 때까지 수일 투여한 군 |
결과변수 | 1차 결과변수 | ○ 투여 후 고가스트린혈증 여부 |
2차 결과변수 | ○ 투여 전 후 혈중 가스트린 수치 증가 |
- 연구 2 (체계적 문헌고찰)
- 동아시아에서의 프로톤펌프억제제의 장기투여와 위암 발생과의 관련성 및 위험도에 대한 메타분석
- PPI 사용과 위암 발생 간의 관계는 위험비(risk ratio)와 이의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으로 표시 - 적절한 하위군 분석을 수행
예상결과 및 기대효과
- 예상결과
- 프로톤펌프억제제의 장기 투여와 위암 발생간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위암 발생이 적은 서양과 위암 발생이 많은 동아시아와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이고,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에서는 프로톤펌프억제제 장기 치료가 위암 발생 증가에 유의한 위험요인으로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많음
- 위식도역류질환으로 프로톤펌프억제제 장기 투여를 해야 하는 경우에 고가스트린혈증이 유발되는 것이 위암 발생에 영향을 줄 것으로 추정되므로 고가스트린혈증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요인들을 규명해서 그런 요인들을 가진 환자들을 선별해서 프로톤펌프억제제 장기 투여 방식을 조정하거나 정기적인 추적검사를 시행할 것을 권장하는 근거로 사용될 수 있음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프로톤펌프억제제 장기 사용에 따른 위암 발생의 위험도를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혈중 가스트린 수치를 증가시키는 요인을 찾아서 위험도를 예측하거나 위험도를 낮출 수 있는 방법을 찾는데 중요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
이 연구가 왜 필요한가요?
- 프로톤펌프억제제는 위산분비를 억제하는 약물로 특히 위식도역류질환의 유지치료와 비스테로이드성소염진통제에 의한 위장관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서 장기간 지속적으로 복용하고 있는 환자들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음
- 그런데 프로톤펌프억제제를 장기투여하면 위암 발생이 증가한다는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으며, 특히 위암 발생률이 높은 우리나라에서는 프로톤펌프억제제 투여를 받는 분들의 우려가 많지만 확실한 결론이 없는 상태여서 프로톤펌프억제제 장기 투여와 위암 발생과의 관련성에 대해 논문들을 종합해서 결론을 도출할 필요가 있음
- 또한 프로톤펌프억제제를 사용하면 혈중에 가스트린이라는 호르몬 수치가 증가하는데 가스트린 수치의 증가는 위암 발생을 촉진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음. 따라서 프로톤펌프억제제 사용할 때혈청의 가스트린 수치 증가와 관련된 요인들을 특정할 수 있으면 위암 발생의 고위험군을 선별해서 위암 발생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투여법을 선택하거나 정기적인 검사를 권유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이 연구는 어떤 환자에게 도움이 되나요?
- 위식도역류질환으로 장기간 유지치료를 받는 분, 아스피린이나 비스테로이드성소염진통제 투여로 인한 위장관 손상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프로톤펌프억제제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들에서 위암 예방 목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음
이 연구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 1) 동아시아에서의 프로톤펌프억제제 장기 투여가 위암 발생의 증가와 유의한 관련이 있는가?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기존에 발표된 프로톤펌프억제제 장기 투여와 위암 발생과의 관련성에 대한 논문들을 선정해서 메타분석을 시행하고 특히 위암 발생률이 높은 동아시아에서의 위험도를 알아보고자함
- 2) 위식도역류질환에서 6개월간 프로톤펌프억제제 유지치료를 시행하였던 전향적 임상연구의 데이터를 활용해서 프로톤펌프억제제 장기간 유지요법에서 프로톤펌프억제제 투여 전 후의 가스트린 수치 변화를 이용해서 가스트린의 혈중 수치 증가 혹은 고가스트린혈증 발생에 대한 위험인자를 찾아보고자함
연구결과가 나오면 어떻게 활용할 수 있나요?
- 아직까지 한국인을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프로톤펌프억제제 유지요법 시에 혈중 가스트린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없었기 때문에 프로톤펌프억제제 복용에 따른 가스트린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은 특히 위암 발생이 많은 한국에서 프로톤펌프억제제 장기 사용을 하고 있는 환자들 중에 향후 위암 발생의 위험도가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환자들을 선별해서 위험도를 낮출 수 있는 투여 방식의 조정이나 정기적인 검사를 시행하는 중요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