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top
근거 기반의 노인 만성콩팥병 환자의 혈압 조절 진료지침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가이드라인(근거생성) 상태 진행중
과제번호 RS-2024-00397445 연구책임자 양재원
연구기간 2024-04-01 ~ 2025-03-31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연세대학교원주산학협력단 참여기관 -
기관목록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가이드라인(근거생성)
상태 진행중
과제번호 RS-2024-00397445
연구책임자 양재원
연구기간 2024-04-01 ~ 2025-03-31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연세대학교원주산학협력단
참여기관 0개 기관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보기
기관목록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배경 및 필요성
  • 고혈압 치료의 적정 혈압 목표에 대한 다양한 권고가 있으나, 노인 고혈압의 경우 노인의 특수성을 고려한 진료지침과 권고안은 매우 제한적입니다. 특히 노인 만성콩팥병 환자의 혈압조절은 노인이라는 점 외에도 신기능 저하 합병증에 대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메타분석을 위한 무작위배정 임상연구는 각각의 대상환자군(노인 또는 만성콩팥병)이 포함된 논문은 대부분 하위군 분석으로 수행되어 노인만성콩팥병 환자의 목표혈압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추가 분석이 필요합니다. 두 가지 조건을 맞춘 코호트 연구는 현재 존재하지 않으나 대한신장학회 산하 “노인 신장학 연구회”에서는 2019년 후향적 및 전향적 노인 만성콩팥병 환자 1,200명 정도의 코호트를 구축하고 현재 유지 중입니다. 또한 현재 진행 중인 한국 노인 고혈압 연구 “HOWOLD-BP” 의 결과가 발표되면 두 가지 코호트를 분석하여 나온 결과로 노인 만성콩팥병 환자의 목표 혈압을 설정하는데 국제적인 기준을 제시할 수 있으며, 이는 향후 개발될 다양한 고혈압 진료지침에서 특정 환자군에 대한 세부 지침을 마련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핵심질문
  • Q1. 노인만성콩팥병 환자의 혈압 측정에서 표준화된 병원 혈압 측정은 가정혈압 측정이나 24시간 혈압 측정과 검사정확도가 유사한가? (표준화된 병원 혈압측정 vs 가정 혈압측정 또는 24시간 혈압측정)
  • Q2. 노인만성콩팥병 환자에서 하루 2,000mg 미만으로 나트륨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사망률, 심혈관계 사망률 감소 및 만성콩팥병 악화 방지에 도움이 되는가?
  • Q3. 노인만성콩팥병 환자에서 하루 30분 이상 주 5회 이상 유산소 운동을 시행하는 것이 사망률, 심혈관계 사망률 및 만성콩팥병 악화 방지에 도움이 되는가?
  • Q4. 노인만성콩팥병 환자의 수축기혈압 목표를 120mmHg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사망률, 심혈관계 사망률 및 만성콩팥병 악화 방지에 도움이 되는가? (120 vs 130mmHg)
  • Q5. 노인만성콩팥병 환자의 이완기혈압이 60mmHg 미만까지 낮추는 것이 사망률, 심혈관계 사망률 및 만성콩팥병 악화 방지에 도움이 되는가? (60 vs 80 mmHg)
  • Q6. 노인만성콩팥병 환자에게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i] 또는 안지오텐신 II 수용체차단제[ARB]를 사용하는 것이 다른 계열의 혈압약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사망률, 심혈관계 사망률 및 만성콩팥병 악화 방지에 도움이 되는가? (레닌-안지오텐신계 억제제(RASi)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i] 또는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ARB]) vs other BP medication)
가이드라인 개발방법

구분

(KQ1) 노인 만성콩팥병 환자의 이완기 혈압(60mmHg)에 따른 신기능 감소와 말기신부전 발생에 미치는 영향

핵심질문

- 노인 만성콩팥병 환자에서 이완기 혈압이 60mmHg 미만인 경우 신기능 감소 또는 말기신부전 발생을 증가시키는가?

PICO-SD

- P: 만성 신부전, 60

- I: 평균 이완기 혈압 60 mmHg 미만

- C: 평균 이완기 혈압 80 mmHg 미만

- O: (일차결과변수)전체생존률(사구체여과율 감소 30% 미만), (이차결과변수)사구체여과율 감소 50% 감소, 투석 개시 또는 신장이식

- SD: RCT, 관찰연구

문헌검색

국내외 데이터베이스 검색

OVID-MEDLINE, OVID-EMBASE, Cochrane Library (CENTRAL)

Koreamed, Kmbase, Riss4u

문헌검색시 연도 및 언어 제한하지 않음

주요 문헌들의 참고문헌 목록

임상시험레지스트리 : clinicaltrial.gov

문헌선정

두 명의 평가자가 독립적으로 수행

ㆍ토의를 통한 의견합일, 의견불일치 시 제3자와의 논의 후 합일

사전에 정한 문헌선정기준 활용: 혈압 측정 방법에 따른 문헌 구분하여 선정

선택 기준

배제 기준

ㆍ핵심질문별 PICO-SD에 합당한 연구

동물 실험(non-human) 및 전임상시험 연구(pre-clinical studies)

원저가 아닌 연구(체계적 문헌고찰, 리뷰 가이드라인, 사설, 의견 등)

ㆍ일차결과변수의 양적분석 가능한 결과를 충분히 보고하지 않은 문헌

한국어 및 영어로 출판되지 않은 연구

회색문헌 (학위논문 등) 및 초록

원문확보불가

비뚤림 위험평가

두 명의 평가자가 독립적으로 수행

ㆍ토의를 통한 의견합일, 의견불일치 시 제3자와의 논의 후 합일

RCT 문헌 : Cochrane RoB 도구 활용

NRS 문헌 : ROBANS 2.0 도구 활용

자료추출

두 명의 평가자가 독립적으로 수행

ㆍ토의를 통한 의견합일, 의견불일치 시 제3자와의 논의 후 합일

사전에 개발된 표준화된 서식지 활용, pilot test 병행

자료합성

질적고찰 및 양적 합성

RCT와 관찰연구는 구분하여 양적 합성

이질성 원인 분석 : I2 통계량 50% 이상시 문헌간 이질성 유의한 것으로 판단

하위군 분석 : 연구설계, 연구방법, 연구대상, 중재법 요인, 비뚤림위험 평가결과 등

민감도 분석 : 75세 이상 대상 문헌만 등

근거수준평가

GRADE 근거수준 평가방법 활용

결과변수 중요도 결정 : 핵심 결과, 중요 결과

전반적인 근거수준 결정

보고서 작성

본 연구 전체 결과 분석하여 노인 만성콩팥병 환자의 혈압 목표 정리 후 작성

예상결과 및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가설은 신기능 악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심혈관계 질환 및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목표혈압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연구결과에 따라 이완기 혈압이 환자 예후에 관여하지 않는다는 최근 혈압 조절 진료지침에 수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부분 무작위배정 임상연구에서 수축기목표혈압은 최종 실제 환자가 도달한 혈압과 차이가 있어 수축기혈압 120mmHg 미만 등의 목표혈압을 제시하였을 때 환자의 임상결과를 호전시킨다는 근거는 다를 수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최종 도달 혈압 기준으로 목표혈압 제시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습니다. 만성콩팥병 환자에서 혈압을 낮추는 것이 신기능 감소 등 임상결과에 악영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혈압약 처방의 패턴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