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후향연구(비교평가) | 상태 | 종료 |
---|---|---|---|
과제번호 | HC20C0081 | 연구책임자 | 고영국 |
연구기간 | 2020-12-18 ~ 2022-04-30 이내 | 연구비 | |
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참여기관 | - |
구분 | 후향연구(비교평가) |
---|---|
상태 | 종료 |
과제번호 | HC20C0081 |
연구책임자 | 고영국 |
연구기간 | 2020-12-18 ~ 2022-04-30 이내 |
연구비 | |
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참여기관 | 0개 기관
![]() |
구분 | 후향연구(비교평가) | 상태 | 종료 |
---|---|---|---|
과제번호 | HC20C0081 | 연구책임자 | 고영국 |
연구기간 | 2020-12-18 ~ 2022-04-30 이내 | 연구비 | |
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참여기관 | - |
구분 | 후향연구(비교평가) |
---|---|
상태 | 종료 |
과제번호 | HC20C0081 |
연구책임자 | 고영국 |
연구기간 | 2020-12-18 ~ 2022-04-30 이내 |
연구비 | |
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참여기관 | 0개 기관
![]() |
연구방법 I | 연구설계 | 후향적 코호트 | ||
연구 대상자 | 동맥경화증으로 인한 대퇴슬와동맥병변에 대해 중재시술을 시행 받은 환자 목표 대상자 수: 2,774명 | |||
중재/대조군 | 1 | 일반풍선군(plain old balllon angioplasty, POBA) (n=826) | 일반풍선만으로 치료받은 환자 | |
2 | 일반금속스텐트군(bare metal stent, BMS) (n=943) | 일반금속스텐트로 치료받은 환자 | ||
3 | 약물코팅풍선군(drug-coated balloon, DCB) (n=778) | 약물코팅풍선 단독 또는 조건부스텐트 또는 죽종절제술과 함께 치료받은 환자 | ||
4 | 약물방출스텐트군(drug-eluting stent, DES) (n=227) | 약물방출스텐트로 치료받은 환자 | ||
결과변수 | 1차 결과변수 | 목표병변의 재시술률(target lesion revascularization) / 24개월 | ||
2차 결과변수 | • 모든 사망/심혈관계 사망 • 주요 심혈관계사건 • 주요 하지절단(major limb amputation) • 주요 하지사건(Major adverse limb event, 주요 하지절단 또는 재시술) | |||
연구결과 | • 스텐트재협착병변이 아닌 대퇴슬와동맥병변에 대해 2012년부터 2020년까지 연구참여 기관에서 중재시술로 치료받은 하지 총 2774건이 분석대상이 되었음. • 이 중 일반풍선(POBA)으로 치료받은 826건, 일반금속스텐트(BMS) 치료받은 943건, 약물코팅풍선(DCB)로 치료받은 778건, 약물방출스텐트(DES)로 치료받은 227건이 포함되었음. 평균 나이는 71세였고, 남성이 대다수로 81%였음. 대상환자의 75%에서 고혈압이 그리고 62%에서 당뇨가 동반되었으며 현 흡연자가 26.8%, 만성 신부전이 26.5%에서 확인되었음. 관상동맥질환과 뇌졸중의 병력은 각각 47.4%와 17.9%에서 관찰되었음. 대상환자의 증상은 약 59%에서 간헐적 파행 (intermittent claudication)이었고 약 41%에서는 만성중증하지허혈 (chronic limb threatening ischemia)이었음. TASC C/D병변은 59.1%, 완전폐쇄는 49.5% 그리고 150mm이상 긴병변은 52.8%에서 관찰되었음. 임상 및 병변특성들은 IPTW로 보정후 환자군간 유의한 차이없이 균형된 특성을 나타내었음. • 목표병변의 재시술(TLR)의 2년 누적발생률은 BMS군과 (26.5%) 비교하여 DCB군(15.9%; 위험비[HR], 0.44; 95% 신뢰구간[CI], 0.30 -0.64; p<0.001) 또는 DES군 (15.9%; HR, 0.51; 95% CI, 0.29-0.87; p=0.014)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음. DCB 대 DES(HR, 0.87; 95% CI, 0.51-1.49; p=0.613) 및 POBA 대 BMS(HR, 0.94; 95% CI, 0.73-1.21; p=0.613) 간에 TLR 발생률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음 (HR, 0.94; 95% CI, 0.73-1.21; p=0.626).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률은 4개 그룹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 DCB 치료는 POBA, BMS 또는 DES와 비교하여 Trans-Atlantic Inter-Society Consensus-II type C/D 병변 또는 긴 병변(≥150mm)이 있는 경우에서 유리한 결과를 나타내었음(상호작용 p<0.05). | |||
연구방법 II | 연구설계 | 단일기관(세브란스병원) 대퇴슬와동맥병변에 대해 중재시술을 시행 받은 환자 코호트의 시술의료기기별 시술비용데이터 분석을 통한 경제성 평가 | ||
연구내용 | - 중재시술 의료기기 대안별 비용은 세브란스병원 대퇴슬와동맥 협착증 환자 252명을 대상으로 한 후향적 의무기록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산출하였음. 초기 시술을 위한 입원진료비(급여진료비+비급여진료비)를 산출하고 외래 방문 비용, 예상 재시술 비용을 포함하여 분석하였음. - 중재시술 의료기기별 총 비용과 시술효과를 산출하여 일반 풍선확장술(POBA)과 일반 금속 스텐트(BMS) 병합 요법 대안과 비교하여 DCB와 DES의 점증적 비용-효과비(ICER)산출하였음. 또한 TASC 병변유형과 병변의 길이에 따른 하위분석을 시행하였음 | |||
연구결과 | - 초기 시술 비용과 1년 외래 방문 비용, 재시술 예상 비용을 포함한 경제성평가 결과, DCB가 POBA/BMS에 비해 비용-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DES는 POBA/BMS에 비해 비용-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음. - DCB는 특히 복잡병변인 TASC II lesion type C/D 그리고 긴병변 (150 mm이상)에서 BMS보다 더 비용-효과적인것으로 나타났으나 DES 모든 병변에서 BMS 보다 비용-효과적이지 않았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