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후향연구(근거생성) | 상태 | 종료 |
---|---|---|---|
과제번호 | HC20C0118 | 연구책임자 | 송영신 |
연구기간 | 2020-12-18 ~ 2022-04-30 이내 | 연구비 | |
연구기관 | 차의과학대학교분당차병원 | 참여기관 | - |
구분 | 후향연구(근거생성) |
---|---|
상태 | 종료 |
과제번호 | HC20C0118 |
연구책임자 | 송영신 |
연구기간 | 2020-12-18 ~ 2022-04-30 이내 |
연구비 | |
연구기관 | 차의과학대학교분당차병원 |
참여기관 | 0개 기관 |
구분 | 후향연구(근거생성) | 상태 | 종료 |
---|---|---|---|
과제번호 | HC20C0118 | 연구책임자 | 송영신 |
연구기간 | 2020-12-18 ~ 2022-04-30 이내 | 연구비 | |
연구기관 | 차의과학대학교분당차병원 | 참여기관 | - |
구분 | 후향연구(근거생성) |
---|---|
상태 | 종료 |
과제번호 | HC20C0118 |
연구책임자 | 송영신 |
연구기간 | 2020-12-18 ~ 2022-04-30 이내 |
연구비 | |
연구기관 | 차의과학대학교분당차병원 |
참여기관 | 0개 기관 |
연구방법 I | 연구설계 | [소규모 전향] 연속혈당측정기의 적절한 활용을 위한 환자 교육의 효과 분석 및 효과적인 교육 모델 개발 | ||
연구 대상자 | 당화혈색소 7.0% 이상의 제1형 당뇨병 환자 (총 30명) | |||
중재/대조군 | 1 | 중재군(n=15) | 연속혈당측정기 사용 및 2주 간격으로 원격 교육 | |
2 | 대조군(n=15) | 연속혈당측정기 사용 (원격 교육 없음) | ||
결과변수 | 1차 결과변수 | ○ 12주째 당화혈색소 변화 | ||
2차 결과변수 | ○ 목표혈당 (70-180 mg/dL) 도달비율, 저혈당, 고혈당, 평균혈당, 혈당 변동계수, 치료만족도, 우울, 불안정도, 인슐린 용량, 스캔 횟수, 식이 및 운동,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 |||
연구결과 | - 36명 모집, 2명 중도탈락, 34명 완료 (ClinicalTrials.gov 등록, iCReaT에 eCRF 전원 등록 완료) - 12주째 당화혈색소의 변화는 중재군, 대조군 각각 –1.4%, –0.8%로, 원격 교육을 시행한 중재군에서 더 큰 감소를 보였음. 또한 대조군 대비 중재군에서 목표혈당 도달비율의 유의한 증가(7.0%, P=0.019), 고혈당(–7.2%, P=0.019) 및 혈당 변동계수(–6.4%, P=0.018)의 유의한 감소를 확인하였음. 이러한 혈당 변수들은 중재의 횟수가 늘어날수록 점차 개선되었음. 중재군에서 치료만족도가 유의하게 더 높았음(DTSQc score, 2.5, P=0.016). - 무작위대조연구를 통해 제1형 당뇨병 환자의 연속혈당측정기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개인 교육이 중요함을 증명하였고, 효과적인 교육 모델을 제시함. - 2022 대한내분비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발표 및 SCI 저널에 논문을 출간함. | |||
연구방법 II | 연구설계 | [후향적 코호트] 제1형 당뇨병 환자에서 연속혈당측정기의 혈당조절 효과 분석 | ||
연구 대상자 | 2019~2021년 기간 동안 분당차병원에서 진료받은 제1형 당뇨병 환자 | |||
중재/대조군 | 1 | 연속혈당측정기 사용군(n=80) | 연속혈당측정기를 3개월 이상 사용한 환자 | |
2 | 연속혈당측정기 비사용군 (n=80) | 연속혈당측정기 사용력이 없는 환자이면서, 연속혈당측정기 사용군과 나이, 성별, 기간, 당화혈색소를 매칭(1:1) | ||
결과변수 | 1차 결과변수 | ○ 12주째 당화혈색소 차이 | ||
연구결과 | - 분당차병원 제1형 당뇨병 환자의 연구용 통합 EMR 데이터베이스 구현 - 제1형 당뇨병 환자에서 연속혈당측정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는 경우에 비해 유의한 혈당 개선 효과를 확인함(평균 당화혈색소: 연속혈당측정기 사용군 8.9%→8.0%, 비사용군 8.9%→8.7%; P=0.034). | |||
연구방법 III | 연구설계 | [후향적 코호트] 연속혈당측정기의 사용 기간에 따른 효과 분석 | ||
연구내용 | 병원 EMR 및 연속혈당 통합 데이터 분석을 통해 연속혈당측정기 사용 기간에 따른 혈당 조절 효과를 분석 | |||
연구결과 | 연속혈당측정기를 40주 이상 장기간 사용 시, 사용 기간에 따라 혈당 변동성의 감소(0주 49.5%→40주 41.8%) 및 목표혈당 범위 비율의 증가(0주 58.3%→40주 69.6%) 경향을 확인함. | |||
연구방법 IV | 연구설계 | [문헌고찰] 제1형 당뇨병의 치료 트렌드 및 특성에 대한 문헌 분석 | ||
연구내용 | - 제1형 당뇨병의 관리 방법에 관한 치료 트렌드 파악 | |||
연구결과 | ○ 당뇨병관련 문헌 분석 및 연속혈당측정기 현황분석 보고서 작성함 - 국내외 CGM 임상적 효능 문헌조사 - 국내 CGM 문제점 및 개선점관련 문헌조사 ○ 만성질환 관련 체계적 문헌고찰 관련 SCI 논문 발표함 -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만성질환의 중증도과의 관련성 | |||
연구방법 V | 연구설계 | [2차 자료] 국민건강보험공단DB, 당케데이터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CGM 효과성 분석 | ||
연구내용 | - 의료 빅데이터 기반 연속혈당측정기의 효과성 분석 - 제1형 당뇨병 환자의 관리 방법에 따른 혈당 데이터 패턴 분석 | |||
연구결과 | - 환자 참여를 통해 생성된 연속혈당데이터 (당케서비스, n=111) 및 국내 전체 제1형 당뇨병 환자가 포함된 국민건강보험공단데이터(n=555)를 기반으로 연속혈당측정기의 효과성을 확인함. - 국민건강보험공단데이터: 1형 당뇨병 관리방법별 임상 변수 통계분석, 혈당정보, HbA1c 등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 - 당케서비스데이터: 혈당, 기저 인슐린, 목표 혈당범위, 시간대, 인슐린 지속시간 등 혈당 데이터의 패턴 분석 - CGM을 사용한 후 환자의 특성에 따른 HbA1c 수치의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