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top
급성 뇌경색 환자에서의 베타차단제 효능에 대한 비교효과연구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후향연구(근거생성) 상태 종료
과제번호 HC21C0007 연구책임자 배희준
연구기간 2021-09-01 ~ 2023-05-31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참여기관 -
기관목록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후향연구(근거생성)
상태 종료
과제번호 HC21C0007
연구책임자 배희준
연구기간 2021-09-01 ~ 2023-05-31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참여기관 0개 기관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보기
기관목록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배경 및 필요성
  • 문제의 내용과 크기
    • 뇌졸중은 암에 이어 우리나라의 주요사망원인 중 3위로 단일 장기 질환으로는 2위에 해당함(2015년 통계청 사망통계)
    • 빠른 속도로 인구 고령화가 일어나고 있는 대한민국의 상황을 놓고 볼 때, 향후 뇌졸중 환자의 폭발적 증가가 예상되며, 2030년 35만 명으로 증가할 것이 예측됨
  • 중재에 대한 주요 선행근거 및 한계점
    • 급성 뇌경색 발병 이후의 혈압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기존 연구를 통해 잘 알려져 있으나 급성 뇌경색 이후 심박수가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적음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PRoFESS trial에 참여한 급성뇌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있었음 심박수가 뇌경색 이후의 사망과 연관성을 가짐을 제시하였으나, 뇌경색 발병 이후 120일 이내의 환자를 포함함으로써 급성기 시기의 심박수를 반영하지 못하였고, 항응고제 사용의 적응증에 해당되는 심인성 뇌경색 환자는 포함하지 못한 한계가 있었음
  • 본 연구의 필요성
    • 본 연구진은 심방세동과 동반된 급성뇌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RECEPTION study)에서, 초기 24시간 동안의 평균 심박수가 뇌경색 이후 1년까지의 예후, 특히 사망과 “J-shape”의 비선형관계를 가졌고, 특히 입원 후 첫 24시간 이내의 심박수보다는 증상 발생 후 3일에서 7일 사이의 심박수가 더 뚜렷한 연관성을 나타냄을 살펴본 바가 있음
    • 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심박수를 낮출 수 있는 베타 차단제가 예후 개선에 대해 입증된 바는 없음. 본 연구과제를 통하여 베타 차단제에 대한 비교효과 연구를 수행하고자 함
    • 이로 인해 궁극적으로는 급성기 뇌경색 환자에서의 베타차단제의 적응증 확대와 진료지침에의 반영을 통해 진료 현장에서의 변화 및 뇌경색 환자에서의 실질적인 예후 개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임
연구목표
  •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심박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급성기 이후의 베타 차단제 사용 유무에 따른 장기 예후 차이 확인
연구설계
  • 전향적으로 수집된 코호트의 후향적 분석 연구
연구방법 및 결과

연구방법 I

연구설계

전향적으로 구축된 코호트의 후향적 분석 연구

연구 대상자

201101월부터 201810월까지 CRCS-K 등록병원에 입원한, 증상 발생 1주 이내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n=35,653) 중 발병 4-7일 사이 최대 심박수가 100/ 이상인 환자(n=5,069)

중재/환자군

1

베타차단제 지속 사용군

베타차단제 지속 사용한 환자

비교군

2

베타차단제 미사용 혹은 중단군

베타차단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중단한 환자

결과변수

1차 결과변수

발병 1년 째 주요 심혈관계 사건 (뇌경색 재발, 심근경색 및 사망)

2차 결과변수

20222월까지의 모든 원인의 사망

연구결과

베타차단제 복용 군에서 장기 혈관 사건 및 모든 원인 사망 발생 감소 경향이 보이나, 추적 관찰 기간이 길어질수록 차이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임

이에 베타차단데 지속 복용군을 정의하여 1, 2차 결과변수에 대해 분석한 결과, 2개월 이상 지속 복용군에서 1년이내 주요 혈관성 사건 및 장기 사망이 비지속복용군에 비해 낮음을 확인함

연구방법 II

연구설계

전향적으로 수집된 코호트의 이차 자료원 결합

연구 대상자

2011.01. ~ 2018.10. 까지 CRCS-K 등록병원에 입원한, 증상 발생 1주 이내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n=35,653)

결과 변수

입원 에피소드 구축 및 정확도 검정

종합 연구결과
  • 전향적으로 수집된 CRCS-K 데이터베이스와 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 데이터베이스를 성공적으로 연계하여 분석이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
    • 결합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뇌졸중 입원 에피소드를 선별하였으며, 이를 통해 비교 효과연구에서의 대상군을 선별함
  • 발병 이후 3일-7일 사이의 최대 심박수를 기준으로 선별한 고위험 급성 뇌졸중 환자 (발병 3-7일 내 최대심박수 100회/분 이상)을 대상으로, 베타차단제의 지속복용군에서 사망 위험이 낮음을 확인함
    • 단순 증상 발생 후 8일째의 베타차단제 유무에 따라 군을 나눈 분석에서는 양군간 차이가 없었으나, 베타차단제 지속복용여부에 따라 시점에 따라 군을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2개월이상 지속복용시 사망위험을 낮춤을 확인함
    • 베타차단제 중단군, 미처방군, 지속복용군으로 보다 세부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중단시 사망위험이 높아지며, 장기간 지속복용시 사망위험이 낮아지는 경향을 확인함
    • 이는 베타차단제의 약제군(class)으로 나누어서 시행한 분석 및 성향점수(propensity score)를 이용한 inverse probability for treatment weighting (IPTW)를 적용한 분석, 그리고 E-vaule를 산출한 결과를 통해 분석의 견고성(robustness)을 확인함
결론 및 제언
  • 본 연구는 국내의 대표성 있는 대규모 질병 레지스트리를 이차 공공자료원과 연계하여 질병 경과를 바꿀 단초를 제공한 첫 번째 연구로 의의를 가짐
    • 본 연구를 통한 데이터베이스 연계의 경험은 타 유사한 연구에 활용할 수 있겠음
  • 본 연구에서 확인한 급성 뇌경색 환자에서의 베타차단제의 사망 감소 효과는 고위험 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베타차단제 사용이 환자의 예후를 개선시킬수 수 있을 최초의 가능성을 보인 결과임
    • 이를 토대로 해당 환자군에서 베타차단제 사용에 대한 임상 시험을 수행할 당위성과 충분한 근거를 마련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