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top
중증대동맥판협착증환자에서의 경피적대동맥판 삽입술의 치료효과 및 비용효과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후향연구(비교평가) 상태 종료
과제번호 HC21C0180 연구책임자 김경환
연구기간 2021-09-01 ~ 2023-05-31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참여기관 -
기관목록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후향연구(비교평가)
상태 종료
과제번호 HC21C0180
연구책임자 김경환
연구기간 2021-09-01 ~ 2023-05-31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참여기관 0개 기관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보기
기관목록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배경 및 필요성
  • 경피적 대동맥판 삽입술 (transcatheter aortic valve implantation, TAVI)은 대동맥판 협착증 환자에서 경피적으로 인공 대동맥판막을 삽입하는 시술로 개흉술을 통한 대동맥판 치환술 (surgical aortic valve replacement, SAVR)이 어려운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시행함. TAVI는 통증이 적고 시술시간이 짧고 절개 부위가 작은 비침습적인 것이 장점임. 이전에 조직판막 이식술을 비롯한 일부 심장 수술을 시행받은 환자 또는 대동맥 석회화가 심한 환자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음. 반면에 10~20%에서 중증도의 판막주변 누출의 발생이 보고되고 있고, 이는 장기 사망률의 증가와 연관됨. 또한 20% 가량의 환자에서 부정맥으로 인한 심박동기의 삽입을 유발할 수 있고, 이엽성 판막 또는 심한 판막석회화시에는 시술이 불가능함. 고가 장비의 사용으로 인한 높은 의료비용이 한계로 보고되고 있고, 아직 장기 성적이 보고된 바 없음. 이에 본 연구에서는 TAVI와 SAVR의 치료효과와 비용효과를 비교하고자 함.
연구목표
  • 연구목표: 중증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에서의 경피적 판막 삽입술 (TAVI)의 임상적 유용성 및 실제 결과를 조사해보며(k-TAVI registry 및, 심평원 청구 자료 전수조사), 시술이 진행된 환자의 중등도 평가를 통해 중등도 대비 효용성의 지수를 평가해본다. 특히 중, 저위험군의 환자군에서의 임상결과 효용성에 초점을 맞추어 조사해본다. 더불어 동일 기간에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일반 조직 및 비봉합 대동맥 판막 치환술)들과의 임상 결과를 비교, 평가하여 각 치료 효과의 장단점을 평가해본다.
  • 세부 연구목표: 수술과 삽입술의 비용 분석을 통하여 실제 환자들의 경제적 부담에 비치는 영향 및 경피적 대동맥판삽입 급여범위 변경 등 정책 결정에 활용을 조사해 본다.
연구설계
  • 후향적 코호트
연구방법 및 결과

연구방법

I

연구설계

후향적 코호트

연구 대상자

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이용하여

- TAVI : transapical TAVI (M6580), transaortic TAVI (M6581), and transfemoral TAVI (M6582)

- SAVR : primary SAVR with a conventional bioprosthesis or a mechanical prosthesis (O1783), redo SAVR with a conventional bioprosthesis or a mechanical prosthesis (O1796), and sutureless (SU)/rapid-deployment (RD) AVR (O1799)에 해당하는 환자를 검색한 뒤 분석을 시행함. 4개의 센터 (서울대병원, 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삼성병원)에서 2019.5~2015.06 까지 isolated SAVR를 시행한 19세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456명의 환자를 enroll.

중재/환자군

1

TAVI(n=1468)

경피적 판막 삽입술

비교군

2

SAVR(n=2835)

수술군

결과변수

1차 결과변수

전체 사망률

2차 결과변수

심혈관계 사망률, 조직판막 부전, 뇌졸중, 재수술, 심박동기 삽입 등 전체 합병증

연구결과

중증대동맥판협착증 환자에서 조직판막치환술(SAVR)의 치료효과

-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73.1 ± 7.3세였으며, EuroSCORE II2.23 ± 2.09였습니다. 심폐 우회술 시간과 대동맥 크로스 클램프 시간은 각각 중앙값 106분과 76분이었습니다. SAVR은 전체 흉골 절개술(81.8%), 우측 개흉술(14.7%), 또는 부분 흉골 절개술(3.5%)로 수행되었습니다. 수술 사망률은 1.8%였습니다. 뇌졸중 및 영구 심박동기 삽입의 발생률은 각각 1.1%였습니다. 중등도 이상의 판막 주변 역류는 2.6%의 환자에서 발견되었습니다. 5년 동안의 모든 원인 사망 누적 발생률은 13.0%였습니다. 5년 동안의 심혈관 사망 및 생체판막 기능부전의 누적 발생률은 각각 7.6%6.8%였습니다.

경피적 대동맥판 삽입술(TAVI)의 임상 결과 및 비용

- TAVI 기관 및 시술건수, 중증대동맥판막협착 환자들의 인구학적 분포

39개 기관에서 총 3,463건의 경피적 대동맥판막 치환술이 분석되었음. 2015년부터 2020까지 경피적 대동맥판막 치환술을 받은 환자 수와 기관 수는 각각 102명에서 861, 10개에서 38개로 증가하였음. 20216월 이전까지 한국에는 9개의 센터가 100건 이상의 사례를 경험한 반면, 나머지 74.4%의 기관은 100건 미만의 사례를 시행하였음. 평균 연령은 80.48 ± 5.93세이며, Thoracic Surgeons Society의 사망 위험 예측 점수 (STS-PROM 8%)가 높은 환자는 27.1%를 차지하였음.

- 시술결과

시술 성공률은 99.7%이며, 긴급 개흉 수술로의 전환율은 0.5%이었음. 시술 후 최대 대동맥판 속도 (Vmax) 2.35 (0.49) 로 측정되었음. 대부분 (97.7%)의 환자에서 증상 개선이 보고되었고 (NYHA class II 미만) 중등도 이상의 판막주변역류 (Paravalvular leak)5.1% 로 보고됨. 영구형 심박동기 삽입율은 총 243건이었으며 전체에서 7%에 해당하였음. 입원당시 모든 원인으로 사망한 경우는 2.9% 그 중 1.6%에서 심혈관계의 원인으로 사망이었다. 뇌경색은 2.1% 의 환자에서 나타났으며 그 중 허혈성 원인의 경우 1.7%에 해당하였음. 심각한 장애를 초래한 출혈의 경우 1.2%에서 보고가 됨. 시술 관련 물리적 합병증으로는 접근부위 박리는 1.1% 파열은 0.8%, 혈종은 4.4%였으며 하지 허혈은 0.5%에서 동반되었음.

- 모든원인으로의 사망률 생존분석

건강보험 자격득실의 자료를 바탕으로 30일단기 전체 모든 원인 사망률은 2.7%로 분석되었음. 또한 2, 5년의 사망률은 12.9%, 19.5%로 보였음.

- 심혈관원인으로의 재입원률 생존분석 심사평가원 명세서를 기반으로 심혈관 원인과 관련된 첫 재입원율은 2년 시점에서 31.7%, 5년 시점에서 40.5% 였음. 이는 시술 이후 초반 재입원율이 높음을 의미하여 추후 그 입원율은 점차 감소함을 보여줌.

비용분석

- 경피적 대동맥판막 치환술을 위한 평균 예상 환자당 총비용은 약 \ 41,825,574 ± 9,818,174, 이 비용의 83.2%가 재료비에 할당되었음. 시술 이후 추적관찰과 관련된 비용은 2년간 환자 한 명당 \ 4,695,751± 13,489,962 으로 관찰되었음

종합 연구결과
  • 최근 한국에서 생체판막을 사용하는 단독 SAVR(대동맥판막 치환술)에 대한 다기관 연구 결과, 초기 및 중기 성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음. 또한 TAVI의 입원 비용은 SAVR보다 훨씬 높았으며, 퇴원 후 TAVI의 전체 의료 이용 비용도 SAVR보다 약간 높았음. 대동맥 판막 질환에 대한 시술에 관한 국민건강보험 정책을 수립할 때 시술 비용을 고려해야 함.
결론 및 제언
  • 수술 고위험군에 해당하던 환자들과 고령의 환자들에게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던 TAVI가, 현재는 중-저위험군에게까지 점차 시행이 확대되는 추세에 있고, 2017 미국/유럽 가이드라인에서 중위험군까지 적응증을 확대시킨 이후, 2020 미국 가이드라인에서도 저위험군에서도 다각도적인 평가 후에 고려를 해볼 수 있음을 권고한 바 있음. 현 가이드라인 상으로 TAVI의 적응증에 포함되지 않는 환자들에게도 TAVI가 적용 가능할지 밝히고자 하는 여러 임상시험들이 진행되고 있어, 국내적으로 현재 단계에서 TAVI 적응증의 확대에는 안전성과 유효성의 검증이 필요하고, 적응증에 대한 구체적인 임상진료 지침이 필요함.
  • 비용 효과면에서 미국과 유럽의 심장학회의 권고사항 중 근거수준이 높고 권고등급이 강한 공통적인 적응대상 (수술불가능 및 고위험 대상)은 본인부담을 낮추는 급여 대상으로 고려할 수 있으며 평가가 더 필요한 대상(중위험 대상 등)은 향후 근거자료가 축적되고 기술의 발전이 이루어진 후 적응대상 확대가 건강보험에 적합한지 다시 평가되어야 하며, 본 연구가 해당 결정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됨.
  • 안전성과 유효성 외에도 TAVI와 관련된 사회적 요구도에 대한 분석이 아직 미흡함. 현재까지는 주로 수술 불가 또는 고위험군 환자로 고령이고 의료적 중증도가 높은 질환 대상의 특징을 가져 사회적 요구도가 높은 편이었으나, 향후 시술 적응대상을 중증도가 낮은 대상으로 확대하는 것에 대한 검토 시에는 이에 대한 사회적 요구도가 면밀히 검토되어야 하고, 본 연구에서는 안전성, 유효성 외에도 다각도적인 삶의 질 및 경제성에 대하여도 함께 평가를 시행할 예정으로, 본 연구결과물은 해당 임상진료지침 및 급여 관련 정부 정책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