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top
복합만성질환 환자의 일차의료 지속성과 포괄성 효과 평가 연구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근거생성 / 후향연구 상태 진행중
과제번호 HC23C0165 연구책임자 등록된 연구책임자가 없습니다.
연구기간 2021.09.01 ~ 2023.05.31 이내 연구비 157000 천원 이내
연구기관 삼성서울병원 참여기관 1개 기관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근거생성 / 후향연구
상태 진행중
과제번호 HC23C0165
연구책임자 등록된 연구책임자가 없습니다.
연구기간 2021.09.01 ~ 2023.05.31 이내
연구비 157000 천원 이내
연구기관 삼성서울병원
참여기관 1개 기관
연구배경 및 필요성
  • 문제의 내용과 크기(질환의 사회적 부담, 비용 등)
    • 만성질환 관리는 질병의 상태를 좋게 하여 건강을 유지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목적을 둠. 국내 주치의제도에 대한 개념을 정립한 모델이 없고 현재 운영되고 있는 시범사업들이 주치의제의 특성과 국내 도입을 위한 취지로 시작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주치의제도의 이념과 개념에 맞는 모델 개발이 필요함
    • 일차의료의 강화는 큰 재원 없이 의료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고 증가하는 의료비 지출을 억제할 수 있는 좋은 방안임. 즉, 지속 가능한 건강보험을 위해서는 일차의료의 강화가 필요함

     

  • 중재에 대한 주요 선행근거 및 한계점
    • 진료의 지속성은 동일한 환자에게 지속적으로 방문하는 것이고 장기적 치료가 필요한 만성질환 치료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요소임
    • 포괄성은 치료, 예방, 재활, 건강증진 등 지역사회 인구의 광범위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유병률이 높은 주요 만성질환이 적합함
    • 질병에 대한 악화와 감소 및 타 질환의 사전 예방을 위해서는 환자가 지속적으로 일관된 진료를 받는 것이 건강한 삶의 유지하기 위해서 중요함
    • 주치의제도 모델은 포괄적인 중재를 제공하면서 환자의 지속성을 높여 건강 예후가 좋은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목표가 있음
      그러나 여전히 일차의료 기관의 인적 자원 문제, 내재적 동기 부족에 대한 해결, 그리고 의료현장을 반영한 제도의 설계, 운영 프로토콜 등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근거가 부족함

     

  • 본 연구의 필요성
    • 지속성과 포괄성을 통한 일차의료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 지역사회 기반의 일차의료 주치의 제도를 통해 포괄적 기능과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적 근거를 생산함
      주치의제도가 실현되고 정착되기 위해서는 정책적 실현을 위한 과학적 근거가 필요함
    • 궁극적으로 추치의(단골의사) 제도를 통해 불필요한 의료비 지출을 억제하고 양질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모형이 필요함
연구목표
  • 최종목표: 일차의료를 통한 복합만성질환 환자의 건강 향상 효과 평가
  • 세부목표
    • (전향적 연구) 일차의료의 지속성 및 포괄성 개입에 따른 복합만성질환 환자의 건강 개선 효과 평가
    • (후향적 연구) 일차의료 복합만성질환 환자의 지속성과 포괄성에 대한 의료이용 및 건강 결과 관련성 평가
연구설계
  • 소규모 전향적 코호트
    후향적 코호트
연구방법
  1. 소규모 전향적 연구
    • (PICO 설정)
      • P (대상): 만 30세 이상의 복합만성질환자
      • I (중재): 지속적・포괄적 일차의료 중재
      • C (비교): 비지속적/비포괄적 일차의료 이용
      • O (결과): 검사 및 주재 효과 지표
      • (결과변수) 혈압, 혈당, 당화혈핵소, 콜레스테롤 검사, 복약순응도, 환자만족도, 삶의질

     

  2. 후향적 연구
    • (PICO 설정)
      • P (대상): 만 30세 이상의 복합만성질환자
      • I (중재): 지속적 의료이용 환자, 기능적 의원을 이용한 환자
      • C (비교): 간헐적 의료이용 환자, 경계성 의원을 이용한 환자
      • O (결과): 평가 지표 (첫 발생 시점부터 10년 간 의료이용의 지속성 및 포괄성 관찰 후 건강 결과 확인)
      • (결과변수) 응급실 방문, 입원률, 뇌졸중, 심혈관질환
연구결과, 결론 및 제언 ※ 종료 전 과제는 예상결과 및 기대효과를 기술함.
  • 예상결과
    • (소규모 전향적 연구-시험군 및 대조군 100명) 포괄성(검사 및 약물 처방+캐어플랜 수립+환자관리 체크+환자모니터링+환자교육+환자상담제공)을 중재한 실험군의 질병 조절률이 긍정적으로 변화할 것임
    • (후향적 연구-건강보험공단 맞춤형 연구자료) 경계성 의원보다는 기능적 일차의료기관에 내원하는 환자의 만성질환 관리 효과가 더 좋을 것임. 간헐적 의료이용보다는 지속적으로 의료이용을 하는 환자의 만성질환 관리 효과가 더 좋을 것임

     

  • 기대효과
    • (임상적) 궁극적으로 흔한 만성질환의 지속적인 예방, 지역사회 인구 집단의 건강문제 (흡연, 음주, 비만 등), 만성질환에 대한 예방, 조기 발견 및 치료에 대한 케어플랜을 수립하는데 근거
    • (정책적) 생애주기별 전략적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근거 마련, 주치의제도 정착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높이고 제도의 당위성을 높이는데 기대함
    • (사회적) 복합만성질환 통합 관리를 인한 만성질환 예방 및 의료비 절감 효과
임상시험번호
  • C210040
기타
  • 임시데이터
연구동영상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