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top
고관절골절 노인 환자의 퇴원 후 지역사회 연계 가정기반 방문재활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후향연구(근거생성) 상태 종료
과제번호 HC19C0148 연구책임자 이선희
연구기간 2020-03-05 ~ 2022-02-19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가천대학교 참여기관 -
기관목록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후향연구(근거생성)
상태 종료
과제번호 HC19C0148
연구책임자 이선희
연구기간 2020-03-05 ~ 2022-02-19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가천대학교
참여기관 0개 기관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보기
기관목록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배경 및 필요성
  • 50세 이상 고관절 골절환자의 1인당 의료비는 연간 919만 원으로 일반 성인 연평균 의료비의 8배, 일반 노인(70세 기준) 연평균 의료비의 2.3배임
  • ‘17~’18년 보건복지부 재활의료기관 지정운영 시범사업 대상 질환에 ‘대퇴 골절(고관절 골절)’이 포함되어 고관절 골절 재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지만, 입원 후 30일까지만 재활치료를 받을 수 있으며 방문재활서비스를 결합한 가정기반 재활 프로그램이 부족함
  • 고관절 수술 후 거동불편노인의 방문재활서비스를 결합한 가정 기반 재활프로그램 표준화 지침을 개발이 필요함
연구목표
  • 연구목표
    • 고관절 골절 수술을 받은 노인환자의 퇴원 후 가정기반 재활 프로그램을 개발 하고, 이를 방문재활서비스와 결합한 지역사회연계 재활프로그램으로 적용하여 임상적 효과성 및 프로그램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함
  • 세부 연구목표
    • 고관절 골절 재활 프로그램의 개발
    • 지역사회 연계 재활프로그램 적용
    • 지역사회 연계 재활프로그램 평가 및 확산
연구설계
  • 후향자료 분석, 무작위배정비교임상시험연구(RCT)
연구방법

연구방법

I

연구설계

소규모전향

연구 대상자

선정기준

- 고관절 수술 후 회복기 재활을 위한 입원기간인 30일이 지나 퇴원하여 지역사회에서 재활이 필요한 60세 이상 노인 환자 (고관절 수술은 류마티스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무혈관괴사, 외상 등 고관절 이상으로 인한 수술을 말함)

-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하는 자

제외기준

- 인지장애가 있는 자 (MMSE 24점 이하)

- 심폐기능에 심각한 장애가 있는 자 혹은 다른 진행성 질환이 있는 자

- 병적 골절 대상자는 연구 대상자

실험군 20, 대조군 20명 총 40명을 모두 모집함

중재/대조군

1

실험군(n=20)

방문재활서비스센터와 연계된 38시간 이상 재활교육을 이수한 방문간호사와 연구진에 의해 개발된 고관절 골절 수술 후 지역사회 연계 재활프로그램이 8주간 주 3회 적용

2

대조군(n=20)

운동, 교육 내용이 담긴 자료를 리플릿형태로 1회 제공하며, 이후 추가 중재는 없음

결과변수

1차 결과변수

- 모든 항목은 0, 4, 8주에 측정함

- Functional reach test (FRT)

- Timed up-and-go test (TUG)

2차 결과변수

- 모든 항목은 0, 4, 8주에 측정함

- muscle strength

- Pain

- Activities of dailiy living (ADL)

- Quality of life (QoL)

- Balance confidence

- Depression

연구결과

Functional reach test (FRT)Timed up-and-go test (TUG)에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한 균형과 보행기능의 개선을 보였음

통증은 8주차에 중재군과 대조군 사이에 기초선으로부터의 평균의 변화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음

Short-Form Survey (SF-36)에서 physical component summary (PCS) 점수는 4주차와 8주차에서 중재군과 대조군 사이에 기초선에서의 평균의 변화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음. 반면 mental component summary (MCS) 점수에서는 4주와 8주차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

우울은 시간에 경과에 따른 변화는 중재군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지만, 기초선에서의 그룹간 기준 점수가 유의하게 달랐기 때문에 조정한 후 분석에서는 그룹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음

연구방법

II

연구설계

빅데이터분석(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 청구자료 분석)

연구 대상자

2014~18년 사이 고관절 골절로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

(지난 1년간 고관절 수술을 받은 적이 없는 신규 환자만 대상)

연구결과

빅데이터 자료 분석을 통해 5년간의 고관절 골절 환자의 현황을 파악하여 가정 기반 재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함

고관절 골절은 성별, 연령별 모두 일관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고관절 골절 후 수술 환자의 의료기관별 현황은 상급종합병원 1742(18.48%), 종합병원4636(49.19%), 병원 3006(31.89%), 의원 41(0.44%)으로 종합병원과 병원이 가장 많았음

고관절 골절 후 30일 이내 재수술률은 상급종합병원 1742(0.06%), 종합병원 4636(0.26%), 병원 3006(0.37%)으로 병원과 종합병원 순으로 높았음

고관절 골절 후 수술 및 입원 현황은 종합병원에서 고관절 수술 후 요양병원 입원 17.63%, 병원에서 고관절 수술 후 요양병원 입원 12.29%, 상급종합병원에서 고관절 수술 후 요양병원 입원 9.01%를 차지함

연구방법

연구설계

1. 요구도 조사

2. 체계적 문헌고찰

3. 가이드라인 마련

연구내용

1. 요구도 조사

- 조사 방법: 개발된 설문지를 통해 면대면 자료 수집

- 대상자(대상자 수): 65세 이상 고관절 골절 수술환자 100명 대상

(2개 자료는 응답이 불충분하여 98개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

- 설문 항목: 대상자 인적사항, 가정기반 방문재활서비스의 인식도와 요구도, 가정기반 방문재활서비스의 작업별 중요도와 실행 가능성(전문가타당도 조사 및 설문 확정)

2. 체계적 문헌고찰

- PICO 연구대상(Patients): 고관절골절 수술 후 퇴원한 노인 환자

중재(Intervention): 방문재활서비스를 결합한 가정기반 재활프로그램의 적용

비교(Comparator): 방문재활서비스를 결합한 가정기반 재활프로그램의 미적용

결과(Outcomes): 재활프로그램 중재 종류, 삶의 질,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 신체활동 측정, 근육의 강도, 감정, 재입원, 응급실 방문

시점(Time): 고관절 골절 수술 후

세팅(Setting): 가정

연구설계(Study design): RCT

- 문헌검색 데이터 베이스 및 검색어: Ovid-Medline, Ovid-Embase, Cochrane library

국외

검색어

Patient

(환자)

(hip fractures[MeSH Terms]) OR (((((hip[Title/Abstract]) OR collum[Title/Abstract]) OR ((((femoral [Title/Abstract]) OR femur[Title/Abstract])) AND ((neck[Title/Abstract]) OR

proximal[Title/Abstract])))) AND fracture[Title/Abstract])

Intervention

(중재)

((((((((exercise[MeSH Terms]) OR exercise[Title/Abstract]) OR modalities, physical therapy[MeSH Terms])OR physical therapy[Title/Abstract]) OR physiotherapy[Title/Abstract]) OR rehabilitation[MeSH Terms]) OR rehabilitation [Title/Abstract]) OR therapy[Title/Abstract]) OR training[Title/Abstract]

Setting

(지역사회)

((((((((((ambulatory care[MeSH Terms]) OR ambulatory care[Title/Abstract]) OR community health services[MeSH Terms]) OR community based[Title/Abstract]) OR community dwelling[Title/Abstract]) OR community program[Title/Abstract]) OR primary health care[MeSH Terms]) OR primary health care[Title/Abstract]) OR outpatient*[Title/Abstract]) OR out-patient*[Title/Abstract]) OR home[Title/Abstract]

- 문헌선택

· 선택기준: 고관절 수술을 받은 65세 이상 노인 환자 대상, 가정기반 재활프로그램 중재, 관심 있는 연구결과를 하나 이상 보고한 연구

· 배제기준: 원저가 아님, 동물 연구, 한글 혹은 영어 이외의 언어

- 문헌의 질평가: 문헌의 질 평가는 무작위실험연구(RCT)에 대해 Cochrane에서 제공하는 Risk of Bias (RoB)를 사용함

- 자료추출:

1) 가정기반 재활프로그램의 구체적 방법 관련 자료 추출 항목:

재활프로그램 내용(운동, 교육, 상담, 욕창), 재활프로그램 적용(총 기간, 횟수, 시간)

2) 가정기반 재활프로그램의 임상적 효과성 관련 자료 추출 항목:

재활프로그램 중재 종류, 삶의 질,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 신체활동 측정, 근육의 강도, 감정, 재입원, 응급실 방문

- 통계분석: 통계분석은 최종 선정된 24개의 문헌 중 분석이 가능한 항목에 대하여 Revman(Review manager 5.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함

3. 가이드라인 마련

- 빅데이터 청구자료 분석, 환자요구도 조사, 체계적 문헌고찰 근거 기반을 통한 고관절 수술 후 퇴원 노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지역사회 연계 재활프로그램 개발

- 프로그램 실증 결과 및 전문가 자문 결과를 토대로 실행 가이드라인 마련함

- 마련한 가이드라인의 타지역 확산을 위하여 책자 형태로 제작함

- 가이드라인 항목 : 빅데이터 분석, 환자 요구도 조사,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근거 기반으로 개발된 지역사회 연계 재활프로그램의 운동 교육, 영양 교육, 욕창 관리, 환경 관리

연구결과

1. 요구도 조사

최근 고관절 골절 수술을 받은 노인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98개의 자료를 분석하였음. 대부분 가정 기반 재활 프로그램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음에도 75% 이상의 환자가 가정 기반 재활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음. 이용 의도에 대해 83(84.7%)에서 이용할 것이라고 응답함. 적절한 방문 횟수와 시간은 주 3(40.8%), 60(52%)이 가장 많았으며, 구성요소에 대해 보행훈련(4.33), 관절 운동(4.28), 근력 운동(4.19)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남


2. 체계적 문헌고찰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 분석을 위해 22개 문헌이 최종 선택되어 분석되었으며, 일차적인 결과는 근력, 균형, 이동성이었고, 이차적인 결과는 일상 생활 능력, 낙상 효능감 및 삶의 질 활동이었음. 다요소 가정 기반 재활은 일상 생활 활동, 도구 활동, 삶의 질, 균형, 걸음걸이 속도, 슬관절 신전근의 근력에도 유의한 효과가 있었음(p <0.05)



3. 가이드라인 마련

프로그램 적용 후 임상적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 고관절 수술 후 퇴원 노인의 기능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하여, 20231월부터 시행하는 방문재활치료 시범사업*에서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방문간호사와 물리치료사를 교육 및 협업하여 적용하면 최적의 가정 기반 재활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방문재활치료 시범사업:뇌출혈, 뇌경색, 척수손상, 대퇴골/골반/고관절 골절로 입원중이던 환자가 재활의료기관에서 집중재활 치료 후 퇴원해 재활이 필요한 환자의 가정으로 치료사(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가 직접 방문해 재활치료를 받을 수 있는 제도)

항목

세부 항목

운동 교육

초기 운동

허벅지 강화 운동

발꿈치 끌기

다리 들어 엉덩관절 외회전 운동

발목 운동

엉덩이 강화 운동

뻗은 다리 들기

엉덩관절 벌림 운동

호흡 훈련

중기 운동

탄력밴드를 이용한 뻗은 다리 들기

브릿지 운동

엉덩관절 굽힘 운동

엉덩관절 벌림 운동

미니 스쿼트 운동

탄력밴드를 이용한 엉덩관절 벌림 운동

복근 강화 운동

엉덩관절 폄 운동

앞꿈치/뒷꿈치 들기 운동

호흡 훈련

후기 운동

탄력밴드를 이용한 엉덩관절 굽힘 운동

탄력밴드를 이용한 엉덩관절 벌림 운동

뒤로 걷기

한 발씩 다리 들고 서기

탄력밴드를 이용한 엉덩관절 폄 운동

제자리 걷기

옆으로 걷기

보조기 설정

올바른 보조기 위치

일상생활동작

지팡이를 사용한 보행 훈련

보행기 짚고 일어나기

지팡이를 사용한 계단 내려오기

난간 짚고 계단 내려오기

보행기를 사용한 보행 훈련

지팡이를 사용한 계단 오르기

난간 짚고 계단 오르기

침상에서 내려오기

수술 후 주의해야 할 자세

영양 교육

열량, 단백질, 칼슘과 비타민 D 섭취

담배, , 카페인 금함

욕창 관리

환경 관리

실내 공간, 의복 및 신발, 조명 활용, 화장실, 부엌


연구결과
  • 본 연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 청구자료 분석, 환자요구도 조사, 체계적 문헌고찰, 환자·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고관절 수술을 받은 노인환자의 퇴원 후 가정기반 재활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고,
  • 이를 방문재활서비스와 결합한 지역사회 연계 재활프로그램으로 적용하여 임상적 효과성 및 프로그램 적용성을 평가를 통해 고관절 수술 후 퇴원 노인의 기능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하였음
  • 또한, 개발한 프로그램에 대하여 방문재활치료 시범사업에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실행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타지역 확산에 이바지함
결론 및 제언
  • (임상적 측면) 지역사회연계 재활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검증으로 고관절노인 환자의 의료결과 향상및 삶의 질 제고
  • (정책적 측면) 향후 지역사회 연계 재활과 관련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의료정책 수립
  • (사회적 측면) 노인 환자에 의해 유발되는 의료비 및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국민의 삶의 질을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어, 국가와 국민 당사자의 재정지출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적 편익을 가져올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