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top
난치성 뇌전증에서 신경자극술의 성과 분석 연구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후향연구(비교평가) 상태 종료
과제번호 HC19C0180 연구책임자 이서영
연구기간 2020-03-05 ~ 2022-02-19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강원대학교 참여기관 -
기관목록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후향연구(비교평가)
상태 종료
과제번호 HC19C0180
연구책임자 이서영
연구기간 2020-03-05 ~ 2022-02-19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강원대학교
참여기관 0개 기관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보기
기관목록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배경 및 필요성
  • 뇌전증의 질병부담은 전체 질병 중 0.5%를 차지하며, 신경계 질환 중 뇌졸중, 치매에 이어 다음으로 높음. 또한 젊은 연령대에 발병하여 평생 장애를 갖거나 직업 및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아 정책적 지원 절실
  • 난치성 뇌전증에서 미주신경자극술(vagal nerve stimulation, VNS) 및 심부뇌자극술(Deep Brain Stimulation, DBS) 연구는 주로 소규모의 수술 전후 비교 연구로, 적극적 약물 치료와의 비교 및 비용-효과 연구가 거의 전무함
  • 한국인 인구집단에서 Real-world 기반의 난치성 뇌전증 치료법 근거 생성 및 창출과 신경자극술의 장기 효과 규명이 필수적
연구목표
  • 연구목표
    • 난치성 뇌전증 환자에서 미주신경자극술의 효과를 약물 치료와 비교함

  • 세부 연구목표
    • 국립병원 레지스트리 연구: 건강보험공단+통계청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계 자료로부터 VNS의 성과를 치료 전과 비교
    • 건강보험공단데이터 연구: 통계청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계 자료로부터 VNS의 성과를 약물치료와 비교
연구설계
  • 후향적 코호트 연구
연구방법

연구방법

I

연구설계

후향적 코호트(국립병원 레지스트리 연구)

연구 대상자

9개 국립병원에서 2005-2018년 사이 난치성 뇌전증으로 미주신경자극술을 받은 환자(n=189)

결과변수

1차 결과변수

경련 빈도

2차 결과변수

의료 이용(응급실, 입원, 뇌전증지속증 방문), 의료비, 사망

연구결과

- 임상효과: VNS 전후 1년 동안 발작 빈도 평균의 50% 이상 감소: 28.0%; 발작 빈도의 유의한 감소 추세: 26.5%; 1년 이상 발작 없음: 5.8%

- 예측인자: 수술전 뇌파에서 secondary bilateral synchrony가 관찰된 경우 좋은 예후(40.5% vs 23.1%, OR 2.3 [1.1 to 4.9])

연구방법

II

연구설계

후향적 코호트(건강보험데이터 연구)

연구 대상자

난치성 뇌전증 환자 중 발병 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환자(2004-2017년 발병 환자)

중재/대조군

1

환자군(n=356)

난치성 뇌전증으로 미주신경자극술을 받은 환자

2

대조군(n=3,560)

1:10 propensity based matching (약물치료군)

결과변수

1차 결과변수

사망

2차 결과변수

의료비, 의료 이용(응급실, 입원, 뇌전증지속증 방문)

연구결과

- 사망률이 VNS군에서 대조군보다 높았으나,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정 후 유의하지는 않음

- 2차 결과변수는 분석 중

연구결과
  • 난치성 뇌전증 치료를 위한 미주신경자극술의 국내 시행 현황
    • 2005-2019년 동안 미주신경자극술 시행 전체 건수: 999건
    • 2005-2019년 동안 미주신경자극술 시행 연령대별 건수: 소아 570건, 성인 429건
    • 2010-2019년 동안 미주신경자극술 지역별 시행 건수: 수도권 444건, 지방 91건
  • 미주신경자극술의 건강 성과(국공립기관 레지스트리 연구)
    • 대상자
      • 국공립기관에서 2005-2018년 동안 미주신경자극술을 받은 환자로, 9기관의 189명이 분석에 포함됨(초점성 뇌전증 67.7%, 전반성 뇌전증 8.5%, 조합 뇌전증 23.3%)
    • 뇌전증 감소 효과
      • VNS 수술 전후 1년 동안 발작 빈도 평균의 50% 이상 감소는 28.0%의 환자에서 관찰됨
      • 발작 빈도의 유의한 감소 추세는 26.5%에서 관찰됨
      • 1년 이상 발작 없음은 5.8%의 환자에서 획득
    • 항경련제 이용
      • 수술 전후 1년 모두 5 (4-6)으로 차이 없음
    • 뇌전증 관련 의료 비용
      • 수술 전 1년 동안 4,034 천원(2,599-5,891 천원), 수술 후 1년 동안 3,901 천원(2,489-5,727 천원)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음
    • 뇌전증 중첩증으로 입원
      • 수술 전 1년 동안 1.0 회(1.0-3.5회), 수술 후 1.0회(1.0-2.8회)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음
    • 예측 인자: 초점성 뇌전증 중, 뇌파에서 secondary bilateral synchrony가 나오는 경우 효과를 더 기대할 수 있음
      • 수술전 뇌파에서 secondary bilateral synchrony가 관찰된 경우 좋은 예후를 보임(40.5% vs 23.1%, OR 2.3 [1.1 to 4.9])
결론 및 제언
  • 난치성 뇌전증 환자에서 어떤 환자에게 미주신경자극술을 권유할 것인지에 대한 가이드가 됨
  • 난치성 뇌전증 환자에서 미주신경자극술을 함으로써 약물치료에 비해 어느 정도의 이득을 기대할수 있는지 실질적인 근거를 제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