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top
신종 감염병 지속 상황시, 환자중심 의사소통 수행을 위한 전략개발: 인포데믹스 예방 및 위기커뮤니케이션 실행 방안 연구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감염병 전향 상태 종료
과제번호 HC20C0008 연구책임자 유현재
연구기간 2020-09-07 ~ 2022-09-07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서강대학교 참여기관 -
기관목록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감염병 전향
상태 종료
과제번호 HC20C0008
연구책임자 유현재
연구기간 2020-09-07 ~ 2022-09-07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서강대학교
참여기관 0개 기관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보기
기관목록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배경 및 필요성
  •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 관련, 2005년에 작성된 국제보건규약에 따라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이자 팬데믹의 장기화가 예상된다고 발표함. 코로나19 지속 시대를 대비한 각국 및 국제 사회의 구체적인 지침 및 대응이 필요한 상황임
  • 공중보건 비상사태인 현재, 부정확한 정보나 루머가 빠르게 확산되는 ‘정보전염병(Infodemics)’ 현상 또한 발생하고 있으며 ‘정보 쓰나미(Tsunami of Information)’ 처럼 엄청난 위험 정보가 일시에 쏟아지면서 생긴 하나의 사회심리적 현상을 이야기하는데(Pulido, et al., 2020), 위기 및 재난 상황에서 사실 전달을 통한 효능감 강화보다는 불안·공포·기피·혐오 등 부정적인 정서 물결 효과(Ripple Effects)가 두드러지는 병리적 여론을 조성하며 사회적 위험을 극대화함. 이러한 인포데믹스의 발생은 코로나19의 높은 불확실성에 기인하며, 위기관리를 어렵게 함
  • 코로나19와 같은 공중보건 비상사태 하에서, 중증질환자 등 건강상태에 크게 영향을 받는 집단을 포함한 환자 및 일반 국민들이 최대한 올바른 보건의료 정보를 제공받으며 ‘환자중심형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포괄적이며 구체적인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개발이 시급한 상황
연구목표
  • 코로나 19등 신종 감염병 지속 상황에서, 매우 실제적(Practical)이며 수용자 시각(Recevier Oriented)에 근거하여 ‘환자중심(Patient Centered) 의사소통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전방위적(Total Diretional) 커뮤니케이션 전략개발
연구설계
  • 무작위배정비교임상시험연구(RCT) 또는 실용적무작위배정비교임상시험연구(PCT)
연구방법
  1. 코로나19 위기에서 나타난 정보과잉-오류(Infodemics) 실태 및 대중의 인식 파악, 감염병 지속 시 효율적인 위기커뮤니케이션 개발과 중재효과 검증연구
    • 코로나19 위기에서 나타난 정보과잉/오류(Infodemics) 실태 수집
      • 염병 위기 시 정보 소통 선행연구, 주요 인포데믹스 사례 고찰 및 분석
    • 감염병 지속 시 활용 가능한 위기커뮤니케이션 개발 및 시뮬레이션 수행
      • 중재 콘텐츠(메시지 관리, 네트워킹 정보전달 등) 제작 및 효과 검증
  2. 코로나19 위기대응 의사결정 향상을 위한 환자중심 건강정보 소통 전략 개발 및 효과 평가 연구
    • 코로나19 위기대응 감염취약군의 의사결정 현황 파악
      • 신종감염병 대응 의사결정에 대한 현황 진단 및 핵심 문제 도출
      • 감염병 리터러시 측정도구 개발
    • 코로나19 위기대응 의사결정을 위한 환자중심 건강정보 소통 전략 개발
      • 의료전문가 자문단
      • 의사결정지원도구 개발
      • 의사결정지원도구 평가 도구 및 평가 지표 개발
      • 중재 연구 수행 및 효과 평가
    • (1차결과변수)
      • 거짓정보 전달률 감소
      • 진단검사 시행 의도 개선
    • (2차결과변수)
      • 스트레스, 두려움, 불안 감소
      • 감염의 개인 책임 인식 개선
      • 감염병리터러시 개선
      • 의사결정 만족도 및 의사결정 갈등 감소
      • 만성질환 의료이용에 대한 인식 개선
      • 예방접종(백신접종) 행위 의도 개선
예상결과 및 기대효과
  • 예상결과
    • (1세부) 감염성 질병 관리: 가짜뉴스 전달률 감소, 감염병 리터러시 개선, 감염에 대한 개인 책임 인식 개선, 코로나19 등 감염병 관련 두려움 및 불안 감소
    • 비감염성 질병 관리: 만성질환 의료 이용에 대한 인식 개선, 예방접종 행위 의도 개선
    • (2세부) 대조군에 비하여 중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을 것임
  •  

  • 기대효과
    • (임상적) 신종 감염병 지속 상황에서 감염병 관련 환자는 물론 기저질환 보유 환자들에 대한 관리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 또한 감염병 취약군의 과도하고 부적절한 위험 인식 수준과 건강정보 리터러시 수준을 개선하여 국가 차원의 신종 감염병 확산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재유행에서도 역량이 강화된 개인을 통한 효과적인 대응을 기대할 수 있음.
    • (정책적) 연구결과의 언론보도 등 적극적 공론화, 특별 세미나와 공청회 개최 등으로 인해 코로나19 등 국가 감염병 상황 지속시 가장 효율적인 소통 환경을 위한 ‘k-커뮤니케이션’ 매뉴얼이 정립될 것으로 기대.
    • (사회적) 환자를 포함한 일반 대중의 건강 정보 리터러시 수준 극대화, 감염병 위기 지속 시 가장 합리적인 행동과 판단을 가능하게 하는 커뮤니케이션 환경 구축으로 지속가능한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토대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