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top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보건의료자원 균형적 이용 및 부수적 피해(collateral damage)에 대한 영향 평가: 의료취약계층 환자에 대한 영향 분석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감염병 후향 상태 종료
과제번호 HC20C0010 연구책임자 최희경
연구기간 2020-09-07 ~ 2020-09-06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고려대학교 참여기관 -
기관목록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감염병 후향
상태 종료
과제번호 HC20C0010
연구책임자 최희경
연구기간 2020-09-07 ~ 2020-09-06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고려대학교
참여기관 0개 기관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보기
기관목록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배경 및 필요성
  • 폐렴은 주요 사망원인 중 하나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주관하여 시행하고 있는 폐렴 적정성 평가는 진료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였으나, 지역사회폐렴만을 평가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노인의 폐렴은 대부분 평가에서 제외되어 노인 폐렴의 진료 행태나 적절성에 대해서는 알려진 정보가 없었음
  • 노인은 다른 연령에 비해 의료이용을 많이 하고 있으나, 경제적인 이유나 정보 부족, 동반질환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코로나19와 같은 재난적 상황에서는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더욱 떨어질 가능성이 높음. 또한 조기에 적절한 진료를 받지 못할 경우 사망, 입원 등 심각한 결과를 나타낼 가능성이 높음
  • 장애인은 평균 교육 및 소득수준이 낮아,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에 대한 이해 및 실천을 위한 사회경제적 요인도 뒷받침되지 못하여, 이차적인 장애 및 불건강 발생 우려가 있음
  • 취약계층의 특성(연령, 기저질환, 교육수준, 장애유형)에 따른 현재 헬스서비스의 소통과 전달체계의 개선방안, 정책수립의 근거가 필요함
연구설계
  • 코로나19 대유행 시기 취약계층의 진료체계의 개선점 및 고위험군, 고위험요인 파악
  • 코로나19 대유행 시기 취약계층의 주요 급성질환/만성질환 진료의 안정성, 연속성 확보를 통한 건강형평성 제고
연구목표
  • 후향적 코호트
연구방법
  1.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보건의료자원 균형적 이용 및 부수적 피해(collateral damage)에 대한 영향 평가 : 노인 환자에 대한 영향 분석
    • 국내 코로나 발생 이전 1년 ~ 발생 이후 1년 동안 입원한 65세 이상 폐렴 환자 등록 (입원일 기준, 1000건 등록)
    • 등록 대상의 3개월 뒤 의무기록을 포함한 임상연구자료 수집
    • 일차결과변수 : 코로나 전후 노인폐렴의 5개 진료과정평가 지표 달성 비율
    • 이차결과변수 : 코로나 전후 진료과정 평가 지표 및 임상결과 지표
  2.  

  3.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보건의료자원 균형적 이용 및 부수적 피해(collateral damage)에 대한 영향 평가 : 장애인 환자에 대한 영향 분석
    • 국민건강보험 표본데이터, 장애인 실태조사 자료에 기반해 코로나19 유행 전후 장애인의 만성질환 관련 의료서비스 이용현황, 만성질환 관련 건강결과, 만성질환의 부적절한 관리로 인한 개인 및 사회적 질병부담 추계
    • 일차결과변수 : 코로나 전후 취약계층의 주요 질환 유병율 및 사망률
    • 이차결과변수 : 코로나 전후 취약계층의 의료서비스 이용현황, 질병부담
  4.  

  5.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보건의료자원 균형적 이용 및 부수적 피해(collateral damage)에 대한 영향 평가 : 취약계층 및 의료인 대상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연구
    • 코로나 유행 전후 시 병원을 찾았던 100명의 노인/장애자들과 이 그룹과 상호작용이 있었던 의사, 간호사, 그 외 다른 의료봉사자들 50명을 목적적 표집을 통해 섭외해,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수행
    • 의료현장의 문제파악 및 개선방안 제안
연구결과, 결론 및 제언
  • 예상결과
    • 노인폐렴의 임상양상과 진료행태는 비노인 성인폐렴과는 다를 것으로 예상됨.
    • 재난 상황에서 취약계층은 의료서비스 이용에 있어 특히 어려움을 겪었을 것으로 예상됨.
  •  

  • 기대효과
    • (임상적) 평가대상에서 제외되어 온 노인폐렴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음.
    • (정책적) 재난상황에서 취약계층의 건강관리에 필요한 의료자원 수요를 예측하고 이에 따른 보건의료 정책을 수립함.
    • (사회적) 사회적 재난상황에서도 취약계층의 효과적인 질환 관리를 통해 기대치못한 예후 악화 등을 최소화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