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top
신속한 처치가 필요한 응급 질환자에 대한 코로나 19의 영향 분석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감염병 후향 상태 종료
과제번호 HC20C0026 연구책임자 김종근
연구기간 2020-09-07 ~ 2022-09-06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경북대학교 참여기관 -
기관목록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감염병 후향
상태 종료
과제번호 HC20C0026
연구책임자 김종근
연구기간 2020-09-07 ~ 2022-09-06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경북대학교
참여기관 0개 기관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보기
기관목록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배경 및 필요성
  • 국내 코로나19 감염은 초기에는 대구 경북을 중심으로 급속히 확산되는 추세였으며, 현재는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유행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
  • 코로나19의 전 세계적인 유행으로 인하여 응급실 이용 형태의 변화를 보이고 있음. 이탈리아에서는 코로나 19로 인한 의료이용형태의 변화로 인하여 병원 밖 심장정지 환자 발생률이 증가하였으며, 2019년과 비교하여 응급의료서비스를 이용하여 병원도착시간이 3분이 늦어졌으며 생존율에 영향을 주었음을 보고한 바 있음. 그리고 미국에서는 국가비상사태 선포 이후 10주간 응급의료기관 내원환자는 심장질환 23%, 뇌졸중 20%, 고혈당 10% 감소하였음을 보고하였음.
  • 코로나19 유행시기에 응급의료 이용 형태 변화 및 주요 응급 질환의 사망률 변화를 확인하고, 초기 코로나19가 유행하였던 대구 지역의 코로나19 유행 전후 급성 심근경색, 급성 뇌졸중과 같은 응급 질환 환자의 임상적 지표와 결과 분석하여 신속한 처치가 필요한 응급 질환자에 대한 코로나19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함.
연구목표
  • 감염증 대유행으로 응급의료체계에 주는 다양한 영향과 이로 인한 부수적인 피해를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 제안
연구설계
  • 후향적 코호트 연구
연구방법
  • 연구개발 주요 내용
    • 1차년도
      • 응급의료 이용량 데이터 수집 (NEDIS 전송 자료 기반)
      • 코로나 19 유행시기 대구 지역 주요 응급 질환(급성 심근경색, 급성 뇌졸중, 병원 밖 심장정지) 관련 후향적 다기관 코호트 구축
      • 코로나 19 유행기간동안 대구 경북 지역 응급의료기관 근무 의료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
    • 2차년도
      •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연령별, 중증경증질환별, 지역별 응급의료 이용량, 이용 형태 변화, 사망률 변화 분석
      • 코로나 19 유행으로 인한 대구 지역 응급의료기관 폐쇄시기와 폐쇄 전후기간에 응급 질환 환자의 임상적 지표와 치료 결과 분석
      •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의료현장의 문제점 개선 방안을 논의
  • (1차결과변수) 사망률 (원내 사망률, 14일 이내 사망률)
  • (2차결과변수) 월별 응급의료 이용량
예상결과 및 기대효과
  • 예상결과
    • 코로나19 유행이 감염증 유행시기 전후의 급성 심뇌혈관질환자, 병원 밖 심정지 환자의 응급실 이용형태와 임상적 지표, 사망률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예상함
  •  

  • 기대효과
    • 대구 경북지역은 통계청에의 2020년 7월 발표에 의하면 코로나 19 유행 시기에 일시적으로 초과사망률이 높았다고 보고한 바 있으며, 구체적인 임상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신속한 치료가 필요한 응급질환자에 대한 사망률과 임상적 지표를 확인,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감염병 대유행 상황에서도 응급의료의 기능을 유지, 개선할 수 있는 정책 방향과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연구 결과 활용이 기대됨. 당시의 의료진을 대상으로 실태 조사와 일선에서 느꼈던 어려움들을 분석하여 향후 격리병상 확보를 포함한 보건정책 마련 및 의료기관에 대한 지원, 재난 상황에서 지역 응급의료체계 향상을 위한 전원 컨트롤 타워 수립 등의 정부 의료전달체계 정책 개선에 연구결과물이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됨.
    • 본 연구를 통하여 응급실 이용량 변화와 연령대, 질환별, 중증도별 변화 양상을 확인하여 코로나 19 유행 시기와 유행 전 시기의 비교하여 의료 전달체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해 나아갈 수 있으며, 특히 신속한 처치가 필요한 응급질환자의 응급실 이용량과 사망률을 확인하여 의료 접근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