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top
산전·조기 아동기 간호사의 지속적 가정방문 서비스가 아동의 건강발달과 엄마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전향적 지역사회 무작위대조시험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전향연구(근거생성) 상태 진행중
과제번호 HC19C0048 연구책임자 강영호
연구기간 2020-03-05 ~ 2024-07-31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서울대학교 참여기관 1개 기관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보기
기관목록
보건소23개소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전향연구(근거생성)
상태 진행중
과제번호 HC19C0048
연구책임자 강영호
연구기간 2020-03-05 ~ 2024-07-31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서울대학교
참여기관 1개 기관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보기
기관목록
보건소23개소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배경 및 필요성
  • 초기 아동기에 이루어지는 개입은 아동의 건강과 발달, 교육적 성취, 사회적 안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장기적으로 비용효과적임. 어려움을 겪는 가정에서 자라는 아동은 양질의 돌봄을 받지 못하고, 이는 건강발달과 사회적 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됨
  •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어려움이 있는 가정을 지속적으로 방문하여 가족의 양육역량을 향상시키고 아동의 발달을 돕는 서비스를 국가 차원에서 확대하고 있음
  • 한국에서는 2013년부터 취약한 영유아 가정을 대상으로 한 지속적 가정방문 서비스가 1개 대도시에서 시작되었고, 2019년 국가정책으로 채택되어 현재 전국적인 사업으로 확대되고 있음. 이 연구는 한국형 조기아동기 간호사 지속적 가정방문의 효과성을 과학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전향적 지역사회 무작위배정 대조시험임
연구목표
  • 산전·조기 아동기 간호사의 지속적 가정방문 서비스가 아동 건강발달과 엄마 건강에 미치는 영향 규명
연구설계
  • 기 아동기에 이루어지는 개입은 아동의 건강과 발달, 교육적 성취, 사회적 안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장기적으로 비용효과적임. 어려움을 겪는 가정에서 자라는 아동은 양질의 돌봄을 받지 못하고, 이는 건강발달과 사회적 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됨
  •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어려움이 있는 가정을 지속적으로 방문하여 가족의 양육역량을 향상시키고 아동의 발달을 돕는 서비스를 국가 차원에서 확대하고 있음
  • 한국에서는 2013년부터 취약한 영유아 가정을 대상으로 한 지속적 가정방문 서비스가 1개 대도시에서 시작되었고, 2019년 국가정책으로 채택되어 현재 전국적인 사업으로 확대되고 있음. 이 연구는 한국형 조기아동기 간호사 지속적 가정방문의 효과성을 과학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전향적 지역사회 무작위배정 대조시험임
  • ※ CRIS RCT registration no. KCT0005579
  • ※ Trials RCT registration no. NCT04749888
연구방법
  • 지역사회기반 복합 중재활동인 <산전-조기 아동기 지속적 가정방문 서비스>
    • 중재군은 산전부터 아기가 만 2세가 될 때 한 명의 간호사로부터 지속적 가정방문서비스를 받게 됨. 영유아 건강간호사는 보건소 소속으로, 한국형 산전-조기 아동기 지속적 가정방문 서비스에 대한 추가적인 교육을 받았음
    • <산전-조기 아동기 지속적 가정방문 서비스> 지침에 따라, 산전에 최소 3회, 산후 6주 이내 최소 5회, 12주 이내에 2주에 한 번, 6개월 이내에는 3주에 한 번, 12개월 이내에는 6주에 한 번, 만 2세까지는 2달에 한 번의 가정방문을 받게 됨. 약 2년 반의 시간 동안 25-29회의 가정방문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방문횟수는 가족의 필요나 요구에 따라 증감될 수 있음
    • 가정방문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본 중재를 위해 개발된 아동건강발달 부모교육자료를 활용하며, 각 가정의 강점과 역량을 고려하여 활동 위주로 개별화된 중재임
    • 본 중재를 통해 각 시점마다 가정에서 필요한 사회복지 자원에 대한 정보 및 연계서비스가 제공됨
  • 연구수행 개요
    • 임산부 등록평가를 통해 위험요인 2점 이상인 임산부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설명한 후 연구참여에 동의를 한 경우에 한해, 웹 기반 무작위배정 시스템을 통해 중재군과 대조군으로 배정됨. 중재군은 한국형 조기 아동기 지속적 가정방문 프로그램을 받고 대조군은 지속방문을 제외한 기존의 모든 모자보건 서비스를 받음
    • 두 집단 모두 산전, 생후 6주, 6개월, 12개월, 24개월에 가정방문 혹은 전화조사를 통해 가정환경, 엄마 건강, 아이 건강, 가족 건강 영역의 평가지표에 대해 측정을 받게 됨. 이는 훈련된 연구간호사에 의해 수행되며, 연구매니저는 임산부등록, 무작위배정, 추적조사 일정 등을 중앙에서 관리하며, 입력자료에 대한 관리는 제3의 의학연구협력센터에서 수행함. 결과측정 및 분석은 단일 눈가림방법을 통해 해당 가정의 무작위배정 여부를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이루어짐
  • 결과변수
    • 일차 결과변수: 아동기 가정환경 자극 검사지표(HOME), 상해 관련 응급실 내원, 베일리 아동발달 검사지표(K-BSID-II), 모유수유 기간, 엄마의 주관적 건강상태, 연계서비스 이용률
    • 이차 결과변수: 부모의 양육지식(안전 관련), 배우자 폭력 노출(HITS), 덴버 발달 선별검사, 출생시 체중과 주수, 아동의 성장, 영아돌연사 관련 지식, 예방접종과 영유아 검진 참여, 배우자 양육 참여, 양육관련 지출, 산모우울과 불안, 엄마/배우자의 흡연과 음주, 출생시 분만 방법, 양육스트레스, 건강체중 유지, 사회적지지, 식품 불안정성, 부부친밀도, 모아상호작용(NCAST)
예상결과 및 기대효과
  • 예상결과
    • 한국형 산전-조기 아동기 지속적 가정방문 프로그램의 효용에 대한 과학적 근거로 사용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근거로도 활용될 수 있음
    • 정부가 ‘포용국가 아동정책’의 일환으로 2020년도부터 전국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생애 초기 건강관리 사업>의 과학적 근거로 활용될 것임
    • 무작위대조시험의 결과는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산전·조기 아동기 방문건강관리 사업의 확대 속도와 방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연구결과는 국내외적으로 확산되어 (1) 국내적으로는 우리나라의 공공 보건서비스의 과학적 근거를 생성하기 위한 실험 연구를 촉진할 수 있으며, (2) 국외적으로는 산전·조기 아동기 지속적 가정방문 프로그램의 학술적 논의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임
  • 기대효과
    • (임상적) 아동 발달 지표와 취학 준비성 지표(school readiness)에서의 개선 기대
    • (정책적) 생애 초기 건강관리 사업으로 한국형 간호사의 생애 초기 가정방문 프로그램 확립과 전국 확대
    • (사회적) 장기적으로 청소년 문제(범죄 등), 사회복지 비용 등에서의 감소 효과 기대
임상시험번호
  • C200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