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top
#기타  
노인 낙상 예방을 위한 정밀 참여형 프로그램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전향연구(비교평가) 상태 진행중
과제번호 HC21C0064 연구책임자 김기원
연구기간 2021-09-01 ~ 2026-05-31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참여기관 6개 기관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보기
기관목록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강북상성병원 국립교통재활병원 중앙대학교병원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전향연구(비교평가)
상태 진행중
과제번호 HC21C0064
연구책임자 김기원
연구기간 2021-09-01 ~ 2026-05-31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참여기관 6개 기관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보기
기관목록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강북상성병원 국립교통재활병원 중앙대학교병원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배경 및 필요성
  • 낙상으로 인한 국내 사회경제적 비용은 단일 질환별 4위로 연간 약 4.9조원에 이르며, 환자안전사고 중 가장 높은 발생률과 손상 정도, 사망률을 보임
  • 낙상 병력이 있는 노인은 재발 위험이 없는 노인에 비해 3.2배 높음에도 불구하고, 입원 환자와 퇴원 후 지역사회 노인을 포괄하는 환자 중심의 통합 중재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음
  • 병원과 지역사회를 포괄하는 환자 중심의 다면적 낙상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
연구목표
  • 낙상 고위험 노인 환자의 선별 및 다면적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병원과 지역사회에서 적용 후 임상적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함
연구설계
  • 층화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시험연구
연구방법
  • 낙상 고위험 노인의 선별 및 능동 참여 중재 프로그램 확립
    •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최적의 선별도구 선정
    • 초기 평가 단계 → 중재 계획 수립 단계 → 재평가 및 유지 단계에서 적극적인 환자 참여를 통해 지속성 있는 맞춤형 중재를 시행
  • 입원/응급실 내원/외래 및 지역사회 환자 대상으로 선별검사상 낙상 위험이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다기관 무작위 배정 비교임상시험을 시행
    • ­ 중재군: 낙상 복합(운동 및 교육) 중재로 구성. 운동 중재는 병원 기반과 가정 기반으로 구분하며, 교육 중재는 약물검토, 영양 및 환경 중재로 구성, 낙상 전담 연구코디네이터가 피험자 그룹을 관리함
    • ­ 대조군: 중재군과 같은 시점에 시행한 동일한 평가의 결과를 서면으로 제공 받음
    • ­ 결과변수 : 중재 후 1, 3, 6, 12개월 시점에서 평가낙상관련척도, 낙상관련손상 횟수, 신체기능평가 등 평가
  • 동 참여 중재 프로그램의 임상적 근거 확충과 지역사회 병원으로의 시범 사업
    • 낙상 고위험 노인을 위한 능동 참여 중재 프로그램의 임상적 근거 생성
    • 지역사회병원 시범사업을 통한 실증 기반 구축
  • 낙상 고위험 노인의 선별과 중재에 대한 관리 체계를 제시
    • 임상 적용을 위한 정책 및 제도화를 위한 제안
예상결과 및 기대효과
  • 임상적 측면
    • 전 의료체계를 포괄하는 시기별, 맞춤 제공이 가능한 효과적인 낙상 예방 및 노쇠 중재 방법으로 근거 생성을 기대
    • 다학제 기반의 의료체계를 촉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
  • 정책적 측면
    • 임상적 효과와 사회경제적 효과에 대한 근거를 확보하여 미충족 의료수요를 해결할 수 있는 의료기술로 건강보험 급여 정책 마련에 기여
    • 초고령사회에서 낙상 및 노인성 질환 관리에 대한 국내 실정에 맞는 보건의료정책 수립에 기여
  • 환자·국민 건강증진 측면
    • 국내 낙상 환자의 장애와 사망률을 감소시킴으로써 의료의 보장성 강화에 기여
    • 낙상 및 노쇠 환자에 대한 통합관리프로그램으로 건강상태, 일상생활기능, 생활습관 등의 개선으로 의료비 지출 절감
임상시험번호
  • C220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