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top
환자중심 방문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평가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전향연구(근거생성) 상태 진행중
과제번호 HC21C0105 연구책임자 장숙랑
연구기간 2021-09-01 ~ 2026-05-31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중앙대학교 참여기관 4개 기관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보기
기관목록
중앙대학교 서울대학교 의원급의료기관 요양원(노인요양시설)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전향연구(근거생성)
상태 진행중
과제번호 HC21C0105
연구책임자 장숙랑
연구기간 2021-09-01 ~ 2026-05-31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중앙대학교
참여기관 4개 기관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보기
기관목록
중앙대학교 서울대학교 의원급의료기관 요양원(노인요양시설)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배경 및 필요성
  • 우리나라 거동불편 노인의 규모는 칩거를 기준으로 140만명 정도로 추산되며, 이들은 돌봄과 질병의 이중부담을 갖고 있는 복합욕구 대상자(complex patients)임. 필수의료에 대한 낮은 접근성은 불필요한 입원을 초래하며 궁극적으로 시설입소 위험을 높임(연간 입원율 26.1% → 재입원율 33.4%).
  • 방문진료의원은 미국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에서 제안하는 HBPC 모형을 기본적으로 수용하고 있음. 국외에서 수행된 7편의 체계적 문헌고찰의 결과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이며, 중등도 이상의 근거로 HBPC 중재기술의 입원예방 효과가 인정되고 있음.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일차의료 영역에서 HBPC 중재기술을 개발·적용하고 과학적 연구방법론에 근거하여 이에 대한 효과성을 평가하는 연구가 부족함. 또한 위험도 평가를 통해 선별된 고위험군에게 방문의료가 우선 적으로 제공되어야 함이 권고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구체적인 기준은 마련되지 못한 상태임.
  • 장기요양 등급인정자의 시설입소 예방을 위해서는 한국 장기요양 노인 대상 시설입소 위험도 평가체계 개발과 방문의료 중재기술의 다면적 효과성 평가가 필요함
연구목표
  • 한국 장기요양 노인 대상 시설입소 위험도 평가체계를 개발하고 방문의료 중재기술의 다면적 효과성을 평가하여 시범사업 운영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 하고자 함
연구설계
  • 실용적무작위배정비교임상시험연구(PCT), 전향적 코호트
연구방법
  • (세부과제 1) 환자중심 방문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험대조 연구
    • 환자군별·직능별·문제목록별 중재 프로토콜 개발
    • 중재 프로토콜 모의적용 및 교육훈련
    • 지역사회 실험대조연구를 통한 중재기술의 효과성 평가
    • 연구대상자: 65세 이상 복합만성질환과 일상생활수행능력 저하로 의료와 돌봄의 복합욕구를 갖고 있는 자
    • 중재군: 5개 의원에 소속된 다학제 팀에 의해 포괄적이고 주기적인 방문의료서비스를 1년(12개월) 동안 제공
    • 비교중재군: 5개 의원에 소속된 임상연구 코디네이터가 건강관리 교육을 3개월 주기로 실시
    • 일차결과변수: 요양시설 입소
    • 이차결과변수: 응급실 이용, 병원입원, 의료비용
  • (세부과제 2) 시설입소 위험도 평가체계 개발 및 검증 연구
    • 장기요양 재가급여대상자의 시설입소위험 요인 규명
    • 시설입소 위험도 평가체계 개발
    • 개발한 위험도 평가체계의 중재 적용 지원 및 검증
    • 실무 및 정책적 활용 방안 제시
예상결과 및 기대효과
  • 예상결과
    • 장기요양 등급인정자의 시설입소 예방을 위한 한국 장기요양 노인 대상 시설입소 위험도 평가체계 개발과, 방문의료 중재기술의 다면적 효과성 평가를 통하여 시범사업 운영을 위한 과학적 근거 마련 가능
  • 기대효과
    • (임상적) 방문간호, 방문재활 등 다른 영역의 임상사례관리 활성화
    • (정책적) 지역사회 통합돌봄사업의 활성화와 장기요양 주치의제도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 (사회적) 광범위한 의료사각지대 해소
임상시험번호
  • C220061
  • C220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