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top
양성자펌프억제제 장기사용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과 공공의료 빅 데이터 비교 분석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후향연구(비교평가) 상태 종료
과제번호 HC19C0077 연구책임자 신운건
연구기간 2020-03-05 ~ 2021-08-19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한림대학교 참여기관 -
기관목록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후향연구(비교평가)
상태 종료
과제번호 HC19C0077
연구책임자 신운건
연구기간 2020-03-05 ~ 2021-08-19 이내
연구비
연구기관 한림대학교
참여기관 0개 기관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보기
기관목록
질환 및 건강상태 설명 닫기
연구배경 및 필요성
  • 양성자펌프억제제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처방되는 약물 중 하나로, 이와 연관성이 의심되는 질환은 중증 또는 만성 질환으로 치료와 관리에 큰 비용이 발생하는 질환임
    • 양성자펌프억제제 복용환자가 2002년에 연간 6,904명에서 2013년에는 80,073명으로 10배 이상 증가함. 특히, 2018년 기준 한 해 동안 양성자펌프억제제사용량은 2억 8,804만 건, 금액은 2,150억 원 규모임
    • 양성자펌프억제제 사용에 대한 부작용과 안전성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장염, 폐렴, 골다공증, 골절치매, 허혈성 심장질환, 만성 콩팥병, 위암 등 다양한 질환이 양성자펌프억제제 부작용으로 제시되고 있음
  • 양성자펌프억제제 사용에 대한 부작용을 제시한 연구들 대부분이 선택 비뚤림, 약한 연관성, 인과관계의 모호성, 낮은 재현성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어서 연구마다 서로 엇갈린 결과를 내놓고 있음
  • 약물 부작용의 인과관계를 증명하는 무작위대조군 연구는 실현이 어려우므로 잘 설계된 후향적 연구가 필요함
연구목표
  • 양성자펌프억제제의 복용기간과 용량에 따른 급, 만성 질환 발생과의 연관성 규명
연구설계
  • 후향적 코호트 연구
연구방법
  1. OMOP 공통데이터모델 자료를 활용한 양성자펌프억제제 사용과 연관된 특정질환 발생의 위험도
    • (1차년도)
      • 인구통계학적 분석 방법 선정
        • Case-control study vs. Self-controlled case series
        • Population level prediction vs. Patients level prediction
      • 단일기관 OMOP 공동데이터모델 자료의 특성 분석과 코호트 추출
      • ATLAS 플랫폼을 이용한 연구설계와 분석코드 작성
      • 데이터베이스 확장을 위한 국내 연구기관 모집
    • (2차년도)
      • 개발된 분석코드 다기관 적용 및 메타분석: R 통계 분석
      • 양성자펌프억제제 기간, 용량에 따른 소그룹 분석
      • 일차결과변수 : 양성자펌프억제제 사용에 따른 위암, 치매, 골다공증, 신장 기능장애의 발생위험도
      • 이차결과변수 : 양성자펌프 억제제 복용 기간에 따른 만성질환 발생 위험도
  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활용한 양성자펌프억제제 사용과 연관된 특정질환 발생의 위험도 산출
    • (1차년도)
      • 질환의 조작적 정의 선정: 치매, 골다공증, 만성콩팥병, 위암 등
      • 청구자료 기반 연구 설계
      • 분석자료 선정
    • (2차년도)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분석
      • 공통데이터모델 자료 분석결과와 비교
      • 일차결과변수: 양성자펌프억제제 사용에 따른 위암, 치매, 골다공증, 신장 기능장애의 발생위험도
      • 이차결과변수: 양성자펌프 억제제 복용 기간에 따른 만성질환 발생 위험도
연구결과
  1. 위암
    • 양성자펌프억제제를 30일 이상 복용군은 복용하지 않은 군에 비해 위암발생의 위험도가 2.37배 높았고, 위암발생의 발암인자로 알려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를 제균한 환자에서도 180일 이상 양성자펌프억제제를 장기 복용한 경우 위암발생의 위험도가 2.22배 높았음
  2. 치매
    • 양성자펌프억제제를 장기간 사용하는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에서 알츠하이머 치매를 포함한 모든 원인의 치매 발생의 위험도 차이는 없었음
  3. 골다공증
    • 건강보험공단자료와 6개 대학병원자료를 합쳐서 양성자 펌프 억제제 사용 시 골다공증의 위험도에 대한 다기관 메타분석 결과, 아주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병원, 원광대학교병원, 공단자료에서 유의하게 골다공증 위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메타분석 결과 랜덤효과 모델에서 양성자 펌프 억제제 사용 시 골다공증의 위험도가 1.59배 증가함
결론 및 제언
  • 양성자펌프억제제를 장기간 연속으로 복용했을 경우, 위암 또는 골다공증 발생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위장관 출혈 병력이 있는 환자에서 항혈전제를 사용할 경우 등으로 제한된 경우에만 연속 복용을 권고해야 함
  • 약물 사용의 안전성 또는 위험성에 대한 근거를 만들기 위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는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많으므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결과는 이에 대한 근거를 확보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임
  • OMOP 공통데이터모델 자료를 활용한 코호트 설계와 분석은 기존의 연구에 비해 빠르고 수정이 쉬우므로 잘 개발된 분석코드는 여러 기관의 데이터베이스에 바로 적용할 수 있음
  • 공공의료 자료가 공통데이터 모델로 전환되어 사용할 수 있으면 실시간 약물 부작용에 대한 모니터링 정책에 반영할 수 있음
  • 이 연구의 분석코드를 Github 웹사이트를 통하여 공개하며 OHDSI를 통하여 국제적으로 외국 의료기관과 공유할 수 있으며 전 국민 의료 이용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국적 임상 근거 창출 기반을 마련하는 후속 연구가 가능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