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top
뇌경색 환자 예후 예측을 위한 양전자 단층 촬영 적용 연구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근거생성 / 후향연구 상태 진행중
과제번호 HC23C0165 연구책임자 등록된 연구책임자가 없습니다.
연구기간 2023.04.01 ~ 2024.12.31 이내 연구비 175000 천원 이내
연구기관 삼성서울병원 참여기관 1개 기관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근거생성 / 후향연구
상태 진행중
과제번호 HC23C0165
연구책임자 등록된 연구책임자가 없습니다.
연구기간 2023.04.01 ~ 2024.12.31 이내
연구비 175000 천원 이내
연구기관 삼성서울병원
참여기관 1개 기관
연구배경 및 필요성
  • 뇌졸중은 암, 심장질환, 폐렴에 이은 국내 주요 사망 원인으로써 한 해 약 14,000명이 사망하며 4조 8000억원의 직/간접 비용이 발생함
  • 뇌졸중의 주요 원인으로는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당뇨, 흡연, 음주와 비만, 운동 부족 등이 알려져 있으며 최근 고혈압에 대한 적극적인 조절로 인해서 전체 뇌졸중 사망률 및 뇌출혈은 감소하는 추세임
  • 그러나 식습관의 서구화와 육식의 증가로 이상지질혈증 및 동맥경화성 뇌경색은 증가 추세로 이에 대한 예방 전략 마련이 필요함
  • 뇌졸중 이후 다양한 신경학적 후유증으로 일상 생활에 복귀가 어려울 뿐 아니라 약 40-50% 생존자가 혈관성 치매를 포함한 인지기능 저하, 30%에서 우울증이 동반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음
  • 한편 뇌졸중 이후 운동 기능 저하 및 어지럼증으로 낙상 위험성이 증가하는데 국내 연구에 따르면 뇌졸중 발생 후 1년 이내에 4%, 3년 이내에 13% 환자가 골절을 경험하게 되며 이는 뇌졸중 재발율과 비슷하거나 웃도는 수준임
  • 따라서, 뇌졸중 이후 뇌졸중 재발을 예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인지기능 저하, 우울증 및 골절 등 삶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는 동반 질환을 예방하는 것 역시 건강 수명을 유지하는데 중요함
연구목표
  • 양전자 단층 촬영 검사를 활용하여 뇌경색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고 이에 기반한 치료 전략 구축
  •  

  • 세부 연구목표
    • 구체적으로, 건강 검진을 목적으로 시행된 양전자 단층 촬영 검사 데이터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조혈기관 및 뇌의 편도체 대사 활성도를 측정하고 혈관 위험 인자 및 동맥경화와 관련성을 파악함
    • 건강 검진을 목적으로 시행된 양전자 단층 촬영 검사 데이터를 통해 조혈기관 및 뇌의 편도체 대사 활성도가 혈중 콜레스테롤, 응고체계, 골대사, 염증반응과 관련성이 있음을 파악함
    • 전향적으로 양전자 단층 촬영 검사를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하여 조혈기관 및 뇌의 편도체 대사 활성도가 향후 뇌졸중을 포함한 혈관 사건 예측에 도움이 되는지 확인함
    • 전향적 코호트 연구에서 양전자 단층 촬영 검사를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하여 뇌졸중 이후 우울증, 인지기능 저하 및 골절 발생을 예측하는지 확인함
연구설계
  • 전향적, 후향적 코호트 연구
연구방법

연구방법

I

연구설계

후향적 코호트 연구

연구 대상자

300 400

포함

건강검진 목적 FDG PET 검사받은 대상자

제외

악성 종양이나 혈관 사건으로 치료 중인 환자

결과변수

1차 결과변수

CT에서 확인한 동맥경화반 존재 유무

2차 결과변수

CT에서 확인한 무증상 열공성 뇌경색

연구방법

II

연구설계

전향적 코호트 연구

연구 대상자

310

포함

뇌경색 이후 자발적으로 동의하고 연구에 참여 가능한 환자로 인지기능 저하 및 언어 장애가 없는 환자

제외

- 활력 징후 또는 신경학적 증상이 불안정한 환자

-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30ml/min 이하인 경우

- 조절되지 않는 당뇨가 있는 경우

- 임신 중이거나 모유 수유 중인 경우

- 동의 능력이 손상된 환자

- 인지기능저하 및 치매로 진단/치료 중인 경우

- 악성 종양이나 심각한 자가면역질환으로 치료 중인 환자

결과변수

1차 결과변수

뇌졸중 재발을 포함한 혈관 사건 발생 여부

2차 결과변수

뇌졸중 후 우울증, 인지기능 저하, 골절 발생 여부

연구방법

III

연구설계

후향적 코호트 연구

연구 대상자

100 120

포함

폐암 진단 하에 FDG PET 검사받고 비디오 흉강경 수술받은 환자

제외

전이암으로 확인된 환자

FDG PET 검사 전 방사선 치료받은 환자

FDG PET 검사 전 G-CSF 치료받은 환자

분석 부위 중대한 구조적 문제 등으로 영상 분석이 적합하지 않은 환자

결과변수

1차 결과변수

뇌졸중 재발을 포함한 혈관 사건 발생 여부

2차 결과변수

전체 사망 발생 여부

연구결과, 결론 및 제언 ※ 종료 전 과제는 예상결과 및 기대효과를 기술함.
  • 예상 연구결과
    • 뇌경색 환자에서 FDG PET을 통해서 측정한 뇌 편도체 및 척추골의 활성도는 뇌경색 이후 혈관사건 발생을 예측하는 정보를 제공
  •  

  • 연구의 의의 및 활용방안
    • 뇌경색 환자의 예후 예측 전략 확보
      • 본 연구를 통해서 뇌경색 이후 혈관 사건을 예측하여 효율적으로 뇌졸중 재발을 포함한 혈관 사건을 예방하고자 함
      • 혈관 사건 뿐 아니라 인지기능 저하, 우울증 및 골절에 대한 예측을 통해서 위험군에게 적절한 예방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음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뚜렷한 치료 수단이 없거나 임상 현장에서 관심이 부족한 반면 생존한 환자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악영향은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함
    •  

    • 뇌경색 환자의 혈관 사건 예방 전략
      • 최근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당뇨 등 적극적인 혈관위험인자 조절을 통해서 혈관사건 재발 위험성은 감소추세에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환자들이 뇌졸중 재발을 경험함
      • 그동안 불안/우울 또는 스트레스 등이 혈관 사건을 초래하는 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증거가 부족하였으나 본 연구를 통해서 정확한 기전 파악에 더욱 다가갈 수 있으리라 예상함
      • 본 연구를 통해 불안/우울과 관련된 뇌 편도체 활성도가 혈관 사건 발생 관련성이 입증된다면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서 항우울증약을 포함한 중재적 치료가 향후 혈관 사건 예방에 도움이 되는지 알아볼 수 있음
임상시험번호
  • C210040
기타
  • 임시데이터
연구동영상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