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top
당뇨합병임신의 건강관리지침개발을 위한 기반데이터 구축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비교평가 / 후향연구 상태 진행중
과제번호 HC23C0165 연구책임자 등록된 연구책임자가 없습니다.
연구기간 2023.04.01 ~ 2024.12.31 이내 연구비 75000 천원 이내
연구기관 삼성서울병원 참여기관 1개 기관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비교평가 / 후향연구
상태 진행중
과제번호 HC23C0165
연구책임자 등록된 연구책임자가 없습니다.
연구기간 2023.04.01 ~ 2024.12.31 이내
연구비 75000 천원 이내
연구기관 삼성서울병원
참여기관 1개 기관
연구배경 및 필요성
  • 임신당뇨병 및 당뇨 유병률 증가 및 불량한 주산기 예후 증가
    • 우리나라는 심각한 저출산 국가이지만 35세 이상의 고령 산모, 비만 산모, 시험관 시술 임신의 증가 로 인하여 2형당뇨병 및 임신당뇨병 고위험 임신과 임신 합병증이 증가하고 있음. 특히 아시아 여성은 임신당뇨병 및 당뇨의 고위험군으로 보고되고 있음
    • 임신당뇨병의 합병증을 낮추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여성들의 위험인자들을 파악하고 임신기간 동안 그에 맞는 적적할 관리가 필요하며 분만 후 2형당뇨병을 포함한 장기적 합병증 위험을 낮추고 출생아의 장단기 예후 향상을 위한 적절한 예방과 관리가 필요함
  • 임신당뇨병과 당뇨 산모에서의 주산기 예후에 대한 다기관 연구의 필요성
    • 국내 현성 당뇨병 산모, 태아 그리고 신생아의 주산기 예후를 확인하고 임신 중 조절에 따른 예후를 분석하는 다기관 연구가 필요함
    • 당뇨/임신당뇨병 임신의 조기진통시에 사용되는 자궁수축억제제들이 산모와 신생아의 혈당을 포함한 임신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기관 연구가 필요함
  • 빅데이터를 이용한 임신당뇨병과 당뇨 산모에서 주산기 예후 분석
    • 인종, 유전적, 식습관, 생활환경의 측면에서 아시아 여성의 당뇨와 예후는 다른 인종과 차이를 보여 왔고, 현성당뇨병 임신여성은 장기 건강 측면에 있어 매우 취약한 계층이므로 국내 여성들을 대상으로 위험인자, 위험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한 위험도 감소전략이 필요함
  • 의료 기관 및 국가 빅데이터 연계연구 필요성
    • 당뇨가 합병된 임신에서 의료기관-국가 빅데이터 연계를 통하여 임신 전, 임신 중, 분만시 의료정보와, 장기추적에 따른 소아 건강과의 연계 자료 확보를 통해 위험요인, 위험도 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함. 이를 통해 향후 위험도 감소를 위한 전략 기반자료로 사용가능
연구목표
  • 당뇨합병 임신부의 건강관리 지침을 위한 기반 데이터 구축
  • 세부 연구목표
    • 병원 데이터 구축을 통한 당뇨합병 임신부 및 신생아의 주산기, 장기 예후 분석
    • 의료빅데이터 구축을 통한 당뇨합병 임신부 및 신생아의 주산기, 장기 예후 분석
    • 병원-의료빅데이터 연계를 통한 당뇨합병 임신부 및 신생아의 주산기, 장기 예후 분석
연구설계
  • 후향적 코호트
연구방법

연구방법

I

연구설계

후향적 코호트(병원데이터1-주산기 및 장기 예후분석)

연구가설

임신중 당조절군에서 신생아불량예후가 감소할 것이다.

연구 대상자

현성당뇨임신분만부 및 해당 출생아, 1,000

중재/환자군

1

조절군 (n=660명예상)

임신기간 중 당 수치 (HbA1c < 6.5%)

비교군

2

비조절군 (n=340명 예상)

임신기간 중 당 수치 (HbA1c 6.5%)

결과변수

1차 결과변수

신생아 불량예후 (조산, 거대아, 호흡부전, 광선치료, 사산, 신생아사망, 견갑난산, 분만손상 중 하나)

2차 결과변수

임산부 불량예후 (임신성고혈압)

연구방법

연구설계

후향적 코호트 (병원데이터2-자궁수축억제제 합병증 분석)

연구가설

beta2 agonist 제제 사용군이 oxytocin antagonist calcium channerl blocker 제제 사용군에 에 비하여 산모 고혈당 발생비율이 더 높을 것이다.

연구 대상자

임신당뇨병분만부 중 임신 34주 이전 조기진통으로 입원치료를 받은 여성 및 해당 출생아

중재/환자군

1

억제제 1 (n=200)

ritodrine (beta-agonist)

비교군

2

억제제 2 (n=100)

atosiban (oxytocin antagonist)

비교군

3

억제제 3 (n=100)

nifedipine (calcium channel blocker)

결과변수

1차 결과변수

자궁수축억제제 종류에 따른 임신성당뇨인 산모에서 산모 고혈당/ 신생아 저혈당비율 비교

2차 결과변수

자궁수축억제제 종류에 따른 공복 및 식후 혈당수치, 분만시재태연령, 조산비율, 제왕절개분만, 신생아 출생체중, 약제 부작용 같은 기타 산과 결과 평가

연구방법

연구설계

후향적 코호트 (의료빅데이터-건강검진+건강보험청구자료+영유아검진)

연구 대상자

2011-2020 기간동안 분만한 모든 산모 및 해당출생아 (중 건강검진과 영유아검진을 받은 경우), 340만명 (의료빅데이터-건강검진+건강보험청구자료+영유아검진)

결과변수

주산기 합병증

당뇨합병 유무에 따른 임신부의 장기 합병증 (고혈압, 심뇌혈관 등) 발생 위험 분석

영유아검진 데이터 연계를 통해 당뇨합병 유무에 따른 신생아 장기 예후 (인지장애, 발달장애, 자폐증 등) 발생 위험 분석

연구방법

연구설계

후향적 코호트 (병원데이터+의료빅데이터)

연구 대상자

2010-2021년기간동안 2,3차 병원 연구기관에서 분만한 현성당뇨산모 및 해당출생아 (2010-2022기간동안 건강검진과 영유아검진을 받은 경우), 1,000

결과

변수

주산기 합병증

당뇨합병 유무에 따른 임신부의 장기 합병증 (고혈압, 심뇌혈관 등) 발생 위험 분석

영유아검진 데이터 연계를 통해 당뇨합병 유무에 따른 신생아 장기 예후 (인지장애, 발달장애, 자폐증 등) 발생 위험 분석

연구결과, 결론 및 제언 ※ 종료 전 과제는 예상결과 및 기대효과를 기술함.
  • 예상 연구결과
    • 당뇨합병임신에서 임신중 당조절여부는 임산부와 신생아 장단기 예후에 영향을 미칠 것임
    • 국내 당뇨합병임신 여성들의 장단기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들을 찾을 수 있을 것임
  •  

  • 연구의 의의 및 활용방안
    • 국내 당뇨합병임신 여성들의 임신 중 및 분만 후 관리에 도움을 줄 것임
    • 향후 모체태아의학회 당뇨합병임신의 관리에 관련된 임신진료지침 개발의 근거자료로 사용될 것임
임상시험번호
  • C210040
기타
  • 임시데이터
연구동영상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