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top
수술 후 유착방지제 사용에 대한 치료효과 및 비용효과성 평가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비교평가 / 후향연구 상태 진행중
과제번호 HC23C0165 연구책임자 등록된 연구책임자가 없습니다.
연구기간 2020.12.18 ~ 2022.04.30 이내 연구비 150000 천원 이내
연구기관 삼성서울병원 참여기관 1개 기관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비교평가 / 후향연구
상태 진행중
과제번호 HC23C0165
연구책임자 등록된 연구책임자가 없습니다.
연구기간 2020.12.18 ~ 2022.04.30 이내
연구비 150000 천원 이내
연구기관 삼성서울병원
참여기관 1개 기관
연구배경 및 필요성
  • 수술 후 유착방지제는 2016년 4월 1일 이후 선별급여 80% 적용됨.
  • 최근 많은 유착방지제품이 사용되고 있고 그 효과에 대한 연구들도 발표되고 있지만 단일 임상과에서 시행된 작은 규모의 연구들이 대부분이며 유착방지제 사용의 임상적 유용성은 대상 수술과 유착방지제의 종류에 따라 상이함.
  • 비용효과성의 근거 부족
    유착방지제를 사용하는 경우 추가 비용이 소요되나 비용 대비 효과 개선을 입증하는 객관적인 연구가 없기 때문에 비용효과성의 근거를 확인하기 어려움.
  • 산부인과에서의 이슈
    산부인과의 경우 대부분의 수술이 포괄수가제가 적용됨으로써 유착방지제의 사용의 효과성 이슈가 다른 진료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제기됨.
  • 유착방지를 위한 연구가 추가로 시행되어 경제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되어야 할 필요성에 대해 꾸준히 제기되어 왔으므로 이 연구를 통해 유착방지제의 효과성과 비용효과성이 객관적인 자료를 통해 입증돼야할 필요성이 있음.
연구목표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수술 후 유착방지용 치료재료 사용여부에 따른 치료효과 및 비용효과 분석을 통해 객관적 근거를 생산함으로써 건강보험급여 정책적 의사결정을 지원함을 목적으로 함
  •  

  • 세부 연구목표
    • (1차년도) 평가지표 개발 및 분석모형 설계
    • (2차년도) 실증적 자료분석 (전산데이터 및 의무기록)
연구설계
  • 후향적 코호트, 중재-대조군 연구
연구방법

연구방법

I

연구설계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한 실증적 자료분석

연구대상자

201604~ 201612월 기간 동안 복강내수술 받은 환자

중재/대조군

1

중재군(n=18,850)

유착방지제 사용군

2

대조군(n=67,528)

유착방지제 미사용군

결과변수

1차 결과변수

유착성 장폐색 발생률

연구결과

건강보험 공단 데이터 분석결과

- 2016년 과거수술력이 없는 전국의료기관의 복강내수술 환례를 대상으로 86,351명의 연구대상을 설정함. 이중 유착방지제 사용군은 21.8%(n=18,850), 미사용군은 67,673(78.2%)였음

 

효과성 평가

- 유착방지제의 효과성 평가를 위해 건강보험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활용하여 유착성 장폐색 발생률(이하 장폐색률)을 살펴보았음

- 유착성장폐색의 조작적 정의는 유착성 장폐색의 치료 및 진단코드 소견으로 하였음.

비수술치료소견: 비위관, 비위장관 삽입

수술치료소견: 진단적 개복술, 소장절제술, 장폐색증수술, 장관유착박리술, 골반내용물 유착박리술

진단소견: 장폐색 진단코드

- 유착방지제 사용군의 경우 장폐색률은 4.3%로 미사용군의 장폐색률 2.2%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효용성 평가

- 유착방지제의 효용성 평가를 위해 복강내수술 후 2년 동안 효용점수(utility score)를 기존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산출함

- 유착방지제 사용군의 경우 1.9945 ± 0.0323, 미사용군의 경우 1.9974 ± 0.0225로 사용군의 효용점수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음

 

비용 평가

- 유착방지제의 비용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해 유착방지제 사용군과 미사용군의 직접비용(심결요양급여비용총액, 간병비, 교통비), 간접비용(작업손실비), 총비용을 산출하였음

- 유착방지제 사용군의 경우 직접비용 8,018,790 ± 1,3913,657, 간접비용 953,836 ± 1,258,822, 총비용 8,972,626 ± 1,4696,257로 산출 되었으며, 미사용군의 경우 직접비용 5,683,365 ± 6,814,829, 간접비용 783,377 ± 1,295,975, 총비용 6,4466,743 ± 7,539,936로 사용군이 미사용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비용을 지불한 것으로 나타났음

 

결론: 건강보험청구 데이터베이스의 분석활용 부적절성

- 유착방지제 사용정보의 부정확성: 비급여 유착방지제 사용여부를 파악하지 못함

- 유착성 장폐색 발생여부 정보의 부정확성

연구방법

II

연구설계

(단일기관) 의무기록 검토 자료 분석

연구 대상자

201604~ 201612월 기간 동안 복강내수술 받은 환자

중재/대조군

1

중재군(n1=286, n2=133)

유착방지제 사용군

(n1: 포괄수가제 수술군 포함, n2: 포괄수가제 수술군 제외)

2

대조군(n1=286, n2=133)

유착방지제 미사용군

(n1: 포괄수가제 수술군 포함, n2: 포괄수가제 수술군 제외)

결과변수

1차 결과변수

유착성 장폐색 발생률

연구결과

효과성 평가

- 일개 대학병원(서울성모병원)의 복강내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유착방지제의 효과성 평가를 위해 유착성 장폐색 발생률(이하 장폐색률)을 살펴보았음

- 수술기간은 20161년간, 관찰기간은 수술 후 2년을 하였음. 연구대상 1,568건 중 비교대상 두 집단의 발생률 비교검정을 위해 600건의 표본크기를 설정함 우선, 중재군 300군을 무작위 추출 후 성, 연령군, 악성종양 여부 등의 특성을 점수화하여 1:1 매칭하여 대조군을 선정함. 정보누락 등을 제외한 572건에 대해 의무기록 검토를 수행함

- 유착성 장폐색의 의무기록 검토상 조작적 정의는 다음과 같음

증상소견: 식이재개 이후 오심 혹은 구토, 복통, 복부팽만 중 최소 3개 이상 충족

이학소견: 식이재개 이후 복부압통, 장음증가

영상소견: 식이재개 이후 단순복부 및 조영증강 CT, 소장조영술 소견

비수술치료소견: 식이재개 시점 이후 금식, 수액치료, 영양보충, 비위관, 비위장관 삽입, pigtail 삽입 및 배액술

수술치료소견: 식이재개 시점 이후 진단적 개복술, 소장절제술, 장폐색증수술, 장관유착박리술, 골반내용물 유착박리술

진단소견: 장폐색 진단코드

- 연구대상(포괄수가제 수술군 포함) 572명 중 유착방지제 사용군의 경우 장폐색률은 5.6%로 미사용군의 장폐색률 11.2%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음

- 포괄수가제 수술군을 제외한 경우에도 (N=266) 중 유착방지제 사용군의 경우 장폐색률은 7.5%로 미사용군의 장폐색률 15.8%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음

연구방법

III

연구설계

가톨릭중앙의료원 CDW 데이터-공단 결합데이터 실증분석

연구 대상자

201604~ 201612월 기간 동안 복강내수술 받은 환자 (CMC 산하 6개 병원)

중재/대조군

1

중재군(n=1,365)

유착방지제 사용군

2

대조군(n=1,466)

유착방지제 미사용군

결과변수

1차 결과변수

유착성 장폐색 발생률

연구결과

CMC-공단 결합데이터 분석결과

- 연구대상 2,831명 중 유착방지제 사용군은 48.2%(n=1,365), 미사용군은 51.8%였음

 

효과성 평가

- 유착방지제의 효과성 평가를 위해 유착성 장폐색 발생률(이하 장폐색률)을 살펴보았음

- 유착방지제 사용군의 경우 장폐색률은 12.4%로 미사용군의 장폐색률 18.5%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음

 

효용성 평가

- 유착방지제의 효용성 평가를 위해 복강내수술 후 2년 동안 효용점수(utility score)를 산출함

- 유착방지제 사용군의 경우 1.9919 ± 0.0280, 미사용군의 경우 1.9862 ± 0.0397로 사용군의 효용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비용 평가

- 유착방지제의 비용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해 유착방지제 사용군과 미사용군의 직접비용(심결요양급여비용총액, 간병비, 교통비), 간접비용(작업손실비), 총비용을 산출하였음

- 유착방지제 사용군의 경우 직접비용 4,400,818 ± 2,786,434, 간접비용 500,069 ± 346,391, 총비용 5,450,664 ± 3,441,952로 산출 되었으며, 미사용군의 경우 직접비용 5,943,771 ± 3,249,445, 간접비용 650,115 ± 392,449, 총비용 7,170,160 ± 4,063,424로 사용군이 미사용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비용을 지불한 것으로 나타났음

연구결과, 결론 및 제언 ※ 종료 전 과제는 예상결과 및 기대효과를 기술함.
  • 연구결과
    • 복강내수술 후 유착방지제를 사용한 경우, 유착성 장폐색 발생률이 유의하게 낮았고, 의료비용(총비용, 직접비용, 간접비용)도 유의하게 낮았으며, 효용점구도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 이를 통해 복강내수술 후 유착방지제의 사용은 비용효과적으로 우위적인 대안으로 판단됨
  •  

  • 결론 및 제언
    • 건강보험 급여정책에 활용
      • 수술 후 유착방지제는 현재 건강보험 급여적용의 선별급여 대상임
      • 이 연구에서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수술 후 유착방지제의 효과성, 비용효과성 분석결과가 도출됨으로써, 유착방지제의 건강보험 급여정책과 관련 정책적 의사결정의 객관적인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음
    • 국민 건강증진 및 경제적 측면의 기여
      • 이 연구결과의 활용을 통해 수술 후 유착방지제의 일반 보험급여가 적용될 경우 수술 후 유착방지제의 급여전환을 통해 환자의 치료의 기회가 확대됨으로써 적용 대상 환자의 건강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함
        특히, 의료취약 환자들의 비용 부담 경감 및 의료접근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함
      • 궁극적으로 국민의료비 부담은 낮추고, 적정진료를 보장하는 의료안전망 구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함
임상시험번호
  • C210040
기타
  • 임시데이터
연구동영상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