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top
의료정보 빅데이터 및 환자참여기반 제1형 당뇨병 환자의 연속혈당측정기 활용의 유효성 평가를 위한 데이터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근거생성 / 후향연구 상태 진행중
과제번호 HC23C0165 연구책임자 등록된 연구책임자가 없습니다.
연구기간 2020.12.18 ~ 2022.04.30 이내 연구비 150000 천원 이내
연구기관 삼성서울병원 참여기관 1개 기관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근거생성 / 후향연구
상태 진행중
과제번호 HC23C0165
연구책임자 등록된 연구책임자가 없습니다.
연구기간 2020.12.18 ~ 2022.04.30 이내
연구비 150000 천원 이내
연구기관 삼성서울병원
참여기관 1개 기관
연구배경 및 필요성
  • 혈당 변동성(glucose variability)의 중요성 및 연속혈당측정의 필요성
    • 제1형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능이 결여되어있고 외부 인슐린에 의존하기 때문에 잦은 고혈당과 저혈당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고, 이에“혈당 변동성 (glucose variability)”을 줄이는 것이 중요함.
    • 혈당수치의 변동폭을 줄이는 것은 당뇨병 치료의 예후에 중요함. 혈당 변동성은 심뇌혈관질환, 미세혈관 합병증, 저혈당, 신기능저하, 치매 위험, 혈관 내피세포의 손상과 같은 당뇨병 합병증의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됨.
    • 따라서, 제1형 당뇨병 환자에 있어 혈당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적절한 양의 인슐린 주입 및 생활습관을 교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 제1형 당뇨병 전통적 자가혈당측정방법 대비 연속혈당측정기의 효과
    • 제1형 당뇨병 환자에서 인슐린 투여방법에 상관없이 연속혈당측정기를 이용한 측정이 전통적 자가혈당측정기를 사용하는 환자보다 당화혈색소 수치, 저혈당증을 개선시킨 것으로 나타남.
  • 연구의 필요성
    • 최근 제1형 당뇨병 환자 대상으로 연속혈당측정기 관련 일부 보험급여가 적용되었으나, 아직까지 환자들의 사용률 및 활용도가 낮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함.
    • 또한 우리나라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속혈당측정기의 효용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실정에 맞는 근거 자료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
연구목표
  • 연구목표
    • 의료정보 빅데이터 및 환자참여기반 제1형 당뇨 환자의 연속혈당측정기 활용의 유효성 평가를 위한 데이터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  

  • 세부 연구목표
    • 제1형 당뇨병 의료연구용 데이터베이스 구축
    • 환자참여를 통해 생성된 연속혈당측정기 데이터 기반 원격 개입 효과 분석(소규모 전향연구)
    • 병원 EMR정보 기반 연속혈당측정기의 효과성 검증 연구(후향 연구)
    • 의료 빅데이터 기반 연속혈당측정기의 효과성 분석(후향 연구)
    • 문헌 고찰을 통하여 제1형 당뇨병의 관리 방법에 관한 치료 트렌드 파악
    • 제1형 당뇨병 환자의 관리 방법에 따른 혈당 데이터 패턴 분석
연구설계
  • 1세부 전향연구, 1세부 후향연구, 2세부 후향연구
연구방법

연구방법

I

연구설계

[소규모 전향] 연속혈당측정기의 적절한 활용을 위한 환자 교육의 효과 분석 및 효과적인 교육 모델 개발

연구 대상자

당화혈색소 7.0% 이상의 제1형 당뇨병 환자 (30)

중재/대조군

1

중재군(n=15)

연속혈당측정기 사용 및 2주 간격으로 원격 교육

2

대조군(n=15)

연속혈당측정기 사용 (원격 교육 없음)

결과변수

1차 결과변수

12주째 당화혈색소 변화

2차 결과변수

목표혈당 (70-180 mg/dL) 도달비율, 저혈당, 고혈당, 평균혈당, 혈당 변동계수, 치료만족도, 우울, 불안정도, 인슐린 용량, 스캔 횟수, 식이 및 운동,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연구결과

- 36명 모집, 2명 중도탈락, 34명 완료 (ClinicalTrials.gov 등록, iCReaTeCRF 전원 등록 완료)

- 12주째 당화혈색소의 변화는 중재군, 대조군 각각 1.4%, 0.8%, 원격 교육을 시행한 중재군에서 더 큰 감소를 보였음. 또한 대조군 대비 중재군에서 목표혈당 도달비율의 유의한 증가(7.0%, P=0.019), 고혈당(7.2%, P=0.019) 및 혈당 변동계수(6.4%, P=0.018)의 유의한 감소를 확인하였음. 이러한 혈당 변수들은 중재의 횟수가 늘어날수록 점차 개선되었음. 중재군에서 치료만족도가 유의하게 더 높았음(DTSQc score, 2.5, P=0.016).

- 무작위대조연구를 통해 제1형 당뇨병 환자의 연속혈당측정기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개인 교육이 중요함을 증명하였고, 효과적인 교육 모델을 제시함.

- 2022 대한내분비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발표 및 SCI 저널에 논문을 출간함.

연구방법

II

연구설계

[후향적 코호트] 1형 당뇨병 환자에서 연속혈당측정기의 혈당조절 효과 분석

연구 대상자

2019~2021년 기간 동안 분당차병원에서 진료받은 제1형 당뇨병 환자

중재/대조군

1

연속혈당측정기 사용군(n=80)

연속혈당측정기를 3개월 이상 사용한 환자

2

연속혈당측정기 비사용군 (n=80)

연속혈당측정기 사용력이 없는 환자이면서, 연속혈당측정기 사용군과 나이, 성별, 기간, 당화혈색소를 매칭(1:1)

결과변수

1차 결과변수

12주째 당화혈색소 차이

연구결과

- 분당차병원 제1형 당뇨병 환자의 연구용 통합 EMR 데이터베이스 구현

- 1형 당뇨병 환자에서 연속혈당측정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는 경우에 비해 유의한 혈당 개선 효과를 확인함(평균 당화혈색소: 연속혈당측정기 사용군 8.9%8.0%, 비사용군 8.9%8.7%; P=0.034).

연구방법

III

연구설계

[후향적 코호트] 연속혈당측정기의 사용 기간에 따른 효과 분석

연구내용

병원 EMR 및 연속혈당 통합 데이터 분석을 통해 연속혈당측정기 사용 기간에 따른 혈당 조절 효과를 분석

연구결과

연속혈당측정기를 40주 이상 장기간 사용 시, 사용 기간에 따라 혈당 변동성의 감소(049.5%4041.8%) 및 목표혈당 범위 비율의 증가(058.3%4069.6%) 경향을 확인함.

연구방법

IV

연구설계

[문헌고찰] 1형 당뇨병의 치료 트렌드 및 특성에 대한 문헌 분석

연구내용

- 1형 당뇨병의 관리 방법에 관한 치료 트렌드 파악

연구결과

당뇨병관련 문헌 분석 및 연속혈당측정기 현황분석 보고서 작성함

- 국내외 CGM 임상적 효능 문헌조사

- 국내 CGM 문제점 및 개선점관련 문헌조사

만성질환 관련 체계적 문헌고찰 관련 SCI 논문 발표함

-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만성질환의 중증도과의 관련성

연구방법

V

연구설계

[2차 자료] 국민건강보험공단DB, 당케데이터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CGM 효과성 분석

연구내용

- 의료 빅데이터 기반 연속혈당측정기의 효과성 분석

- 1형 당뇨병 환자의 관리 방법에 따른 혈당 데이터 패턴 분석

연구결과

- 환자 참여를 통해 생성된 연속혈당데이터 (당케서비스, n=111) 및 국내 전체 제1형 당뇨병 환자가 포함된 국민건강보험공단데이터(n=555)를 기반으로 연속혈당측정기의 효과성을 확인함.

- 국민건강보험공단데이터: 1형 당뇨병 관리방법별 임상 변수 통계분석, 혈당정보, HbA1c 등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

- 당케서비스데이터: 혈당, 기저 인슐린, 목표 혈당범위, 시간대, 인슐린 지속시간 등 혈당 데이터의 패턴 분석

- CGM을 사용한 후 환자의 특성에 따른 HbA1c 수치의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음.

연구결과, 결론 및 제언 ※ 종료 전 과제는 예상결과 및 기대효과를 기술함.
  • 연구결과
    • 제1형 당뇨병 의료연구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
    • 소규모 무작위대조 임상시험을 통해 연속혈당측정기 데이터 기반 원격 개입 효과를 증명함
    • 병원 EMR정보 기반 연속혈당측정기의 혈당조절 효과를 검증함
    • 환자참여를 통해 생성된 당케서비스 데이터 및 국민건강보험공단 의료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국내 제1형 당뇨병 환자의 연속혈당측정기 활용 현황 및 효과성을 확인함
    • 문헌 고찰을 통하여 제1형 당뇨병의 관리 방법에 관한 치료 트렌드를 파악하고 보고서를 작성함
    • 연구 결과 기반 국내 환경에 적합한 제1형 당뇨병 환자의 연속혈당측정기 이용의 개선 방법 및 의료정책 제언에 대해 최종보고서에 기술함
    • SCI 논문 3편 출간, 학술대회 1건 발표
  •  

  • 결론 및 제언
    • 임상적 측면
      • 다양한 국내 의료정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제1형 당뇨병 환자의 최적화된 관리 방안 제시
      • 환자참여기반의 연구 진행으로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예시 제공
      • 관련 임상진료지침 개정안에 근거로 활용
      • 당뇨병 연구를 위한 공단 데이터 연속혈당 정보의 보다 원활한 활용
    • 정책적 측면
      • 제1형 당뇨병 환자의 효과적인 혈당 관리 및 연속혈당측정기 활용을 위한 정책 근거 제공
      • 연속혈당측정기를 최적화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연속혈당측정기 및 소모품 지원 범위 확대 뿐 아니라 교육, 판독, 지도관리에 대한 건강보험 수가 급여기준 변경에 영향
    • 사회적 측면
      • 국내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연속혈당측정기를 홍보하고 교육하는데 근거 자료 제공
      • 제1형 당뇨병 환자의 심각한 합병증 유병률 감소와 함께 삶의 질 개선
      • 제1형 당뇨병 환우회와 연구 결과를 공유, 환자 및 일반국민 대상 정보 전달
    • 경제적 측면
      • 제1형 당뇨병 치료에 대한 국가 및 환자 개인의 경제적 부담 경감
      • 제1형 당뇨병 환자의 건강수준 개선으로 인한 질병 부담 감소
임상시험번호
  • C210040
기타
  • 임시데이터
연구동영상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