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top
젊은 유방암 환자에서 가임력 보존을 위한 다학제 공동 의사 결정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근거생성 / 전향연구 상태 진행중
과제번호 HC23C0165 연구책임자 등록된 연구책임자가 없습니다.
연구기간 2021.01.04 ~ 2025.07.31 이내 연구비 1646000 천원 이내
연구기관 삼성서울병원 참여기관 1개 기관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근거생성 / 전향연구
상태 진행중
과제번호 HC23C0165
연구책임자 등록된 연구책임자가 없습니다.
연구기간 2021.01.04 ~ 2025.07.31 이내
연구비 1646000 천원 이내
연구기관 삼성서울병원
참여기관 1개 기관
연구배경 및 필요성
  • 유방암은 전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암으로, 세계 전체에서 2012년 기준 25.2%를 차지하여 여성 암 중 최다 발생률을 보임. 국내 유방암의 경우에도 2016년을 기준으로 여성 10대암 중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있으며 2000년 (6,237명) 에 비해 2015년 (22,468명) 에 집계된 유방암 환자가 3.6배 이상 가파르게 증가하였음. 유방암 생존율 또한 적극적인 건강검진에 의한 조기진단 비율의 상승과 치료법의 발전 및 적극적인 치료를 통하여 점점 증가하고 있어 국가적 관심이 필요함. 한국에서는 가임기 여성인 18-45세 유방암 환자가 전체 유방암 환자의 34.8% (한국 유방암 학회 등록 사업 자료)를 차지함.
  • 젊은 유방암의 상대적으로 진행된 병기, 공격적인 특성과 아형 및 나쁜 예후로 항암치료를 포함한 치료를 더 많이 하며, 치료 기간이 길어 난소 독성 또는 가임의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더 많아서 난소기능 저하와 불임의 가능성이 증가함. 가임력 보존시술인 난자동결과 배아 동결 방법은, 불임과 난임 환자들의 인공수정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난자 및 배아 채취과정과 유사하지만, 유방암 환자에서 배란을 유도하는 과정의 호르몬 자극을 줄이기 위한 프로토콜을 Oktay 등이 보고하였고, 유방암의 예후에 영향이 없음을 보고 하였음. 일반 여성과 다르게 유방암 환자들의 배란 유도시에 고려할 점은, 1)유방암 치료의 지연을 최소화 하고, 2) 여성호르몬 자극을 줄이며 3) 가능한 많은 난자를 체취하고자 하는 것을 이루어야 함. 이것을 이루기 위해 시술의 개발 및 발전을 시켜야 하며, 가임기 유방암 환자가 많은 우리 나라에서 본 연구를 통하여 이루어야 하는 중요성이 있음.
  • 가임력 보존 다학제 의사결정 도구는 과거 연구들은 교육자료를 만들어서 상담하는 것에 국한되었다면, IT 기술과 동영상이 보급되어, 동영상 교육자료 및 application을 활용한 설문지 조사로 환자의 이해와 참여를 높일 수 있으며, COVID 19 사태로 활성화된 비대면 Virtual 미팅 등을 활성화 하여, 원격의료를 실현할 수 있음.
  • 본 연구에서는 가임기 유방암 환자에서, 유방암 진단시 유방암의 암치료 계획과 동시에 가임력 보존에 대한 공동의사 결정 과정을 통해 가임력 보존 계획을 동시에 수립하여 임신을 원하는 젊은 유방암 환자의 가임력을 보존하여, 삶의 질을 향상 시키고자 함. 더 나아가 이차적으로 환자 비용-효용 분석 및 불안 지수를 비교하며 환자 코호트 생성 후 환자의 preference 및 무작위 배정 거절 이유를 확인, real-world data를 수집하고 현 국내 상황을 확인함
연구목표
  • 가임력 보존 상담의 공동의사 결정 (Shared decision making) 지원도구를 통한 환자의 가임력 보존 방법 선택율과 만족도를 비교하여 가임기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함
연구설계
  • 실용적무작위배정비교임상시험연구(PCT)
연구방법
  • 대조군 (처음 2년) : 각 기관에서 현재 진행 하고 있는 진료 대로 가임력 보존 및 유방암 치료 계획 상담
  • 가임력 보존 공동 의사 결정군 (후반 2년): 연구 처음 2년동안 개발된 가임력 보존 상담프로그램을 통해 상담을 받고 이에 맞추어 가임력 보존-유방암 치료통합 계획을 수립
  • End-point
    • 1차 평가 변수 (Primary endpoint)
      • 가임력 보존 시술 시행율
    • 2차 평가 변수 (Secondary endpoint)
      • 임신 시도율, 출산율
      • Qol 평가 (FACT-B score),
      • 우울-불안 척도 평가 (HADS score) / 경제-효용 척도 평가 (EQ-5D score 및 의료비)
      • Surveillance 방법의 환자 선호도 조사
      • 배우자 만족도
      • 무재발 생존율 (Recurrence free survival) / 전체 생존율 (Overall survival)
연구결과, 결론 및 제언 ※ 종료 전 과제는 예상결과 및 기대효과를 기술함.
  • 예상결과
    • 가임력 보존 공동 의사 결정군에서 가임력 보존 시술 시행율이 더 높을 것이다.
    • 공동의사 결정군의 환자 및 보호자의 만족도가 더 높을 것이다.
  • 기대효과
    • 급증하는 한국 유방암 환자의 주목할만한 특성인 폐경 이전의 젊은 유방암 환자가 서구에 비해 많은 점과 유방암 생존율 증가로 대두되는 젊은 유방암 환자들의 가임력 보존에 대한 계획을 치료전에 수립함으로써
      • 1) 가임력 보존 상담에 대한 의사결정 지원 도구 개발 및 의료 현장 기반 조성
      • 2) 가임력 보존 상담을 통한 환자의 만족도 및 삶의 질 평가
      • 3) 공동의사 결정 이후 가임력 보존 시술 선택 및 임신율의 변화 비교
      • 4) 출산율 증가
임상시험번호
  • C210040
기타
  • 임시데이터
연구동영상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