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top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근거생성 / 전향연구 상태 진행중
과제번호 HC23C0165 연구책임자 등록된 연구책임자가 없습니다.
연구기간 2020.12.18 ~ 2025.07.31 이내 연구비 1172000 천원 이내
연구기관 삼성서울병원 참여기관 1개 기관
연구과제 > 연구주제 상세페이지 기본 정보 테이블. 구분, 상태, 과제번호, 연구책임자,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기관, 참여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분 근거생성 / 전향연구
상태 진행중
과제번호 HC23C0165
연구책임자 등록된 연구책임자가 없습니다.
연구기간 2020.12.18 ~ 2025.07.31 이내
연구비 1172000 천원 이내
연구기관 삼성서울병원
참여기관 1개 기관
연구배경 및 필요성
  • 경계성인격장애(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이하 BPD)의 특징 및 문제점
    • 경계성인격장애는 거절에 대한 과민성과 함께 자아상에 대한 불안정성, 대인관계 불안정성, 충동 조절의 어려움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Gunderson et al, 2018)으로 평생유병률이 약 6%에 달함 (Grant et al, 2008). 만성적이고 잘 변화되지 않는 장애로 간주되며, 높은 자해시도율, 기능의 저하, 높은 정신건강서비스 이용률 등으로 인해 사회경제적인 부담을 높이는 주요 정신건강문제 중 하나임.
  • 중재에 대한 주요 선행근거 및 한계점
    • The Chesnut Lodge 장기추적연구에서 평균 15년 후에 평가한 결과 80%의 환자들이 추적관찰에서 회복을 보였고 일부 환자에서는 완전한 회복을 보임. 다른 장기추적연구(McLean study of Adult Development)에서도 환자의 99%가 증상 관해를 보였으나, 관해에 이르는 기간이 다른 정신질환에 비해 느린 특징을 보임.
    • 국외에서는 변증법행동치료(Dialectical behavioral therapy), 마음헤아리기치료(Mentalization based treatment)을 비롯한 다양한 치료프로그램들이 운영됨. 그러나 국내에서는 개발된 진료지침이 없으며, 번역된 치료매뉴얼이 있으나 치료팀이 1년 전후의 장기 치료를 제공해야 해서 현 건강보험 및 의료체계에서 시행이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음. 따라서 치료의 근거를 생성하는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임.
  • 본 연구의 필요성
    • 경계성인격장애의 높은 사회경제적 부담을 고려할 때 국가 차원의 대응이 필요하나, 우리나라는 유병률 통계조차 미비하며 질환에 특화된 근거기반 치료나 수가 또한 없음. 따라서 치료 개발을 위한 연구 및 예후 예측을 위한 코호트 구축이 필요함.
    • 이 연구는 경계성인격장애 환자의 근거기반 치료를 위한 최초의 전향적 임상연구임.또한 연구를 통해 구축될 심리-신체지표 통합 데이터베이스는 세계적으로도 혁신적이며 이를 통해 진단 및 예후 예측을 보조하는 인공지능알고리듬의 개발이 기대됨.
연구목표
  • 경계성인격장애 임상코호트 구축 및 표준평가 프로토콜 개발
  • 한국형 경계성인격장애 치료프로그램 전향적 근거생성
    • 1. 한국형 마음헤아리기치료 근거생성을 위한 전향적무작위배정 임상시험
    • 2. 한국형 변증법행동치료 근거생성을 위한 전향적무작위배정 임상시험
  • 한국형 경계성인격장애 치료프로그램 개발 및 치료인력양성
연구설계
  • 전향적 코호트
연구방법
  1. 경계성인격장애 임상코호트 구축
    • 임상코호트 구축을 통해 환자군 및 건강대조군 30명의 연구자원을 확보할 예정
      • 목표: 역학정보 및 임상정보 150명 (환자군 120명, 건강대조군 30명)
  2. 한국형 마음헤아리기치료 근거생성을 위한 전향적무작위배정 임상시험 (제 1 세부)
    • 선정기준
      • 중재군, 환자대조군: 만 19-50세 성인으로 경계성인격장애를 진단 받은 자
      • 건강대조군: 만 19-50세 성인으로 경계성인격장애 또는 다른 정신질환이 없는 자
    • 치료방법
      • 중재군: 치료프로그램 ‘마음헤아리기치료’에 참여하게 됨. 초기 진단평가와 마음헤아리기치료에 대한 소개교육(12주)을 진행하고 난 이후 최소 9개월 동안의 집단치료(75분)과 개인면담(30분)을 각각 주 1회씩 시행함.
      • 환자대조군: 초기 진단평가를 동일하게 진행한 후 동일 기간 동안 구조화된 임상 치료(Structured clinical management)라는 프로토콜 기반 치료를 시행함.
    • 평가변수
      • 일차평가변수: 치료기간동안 자살시도율
      • 이차평가변수: PROVE battery(자체개발척도 – 생애초기스트레스, 성인애착척도, 우울증상, 자살/자해 위험성, 마음헤아리기 능력 등), 경계성인격특성, 회복탄력성, 기질성격특성평가, 해리증상, 정신과적 입원, 타액호르몬, 심박변이도, 뇌파변화 등
  3. 한국형 변증법행동치료 근거생성을 위한 전향적무작위배정 임상시험 (제 2 세부)
    • 선정기준: 제 1세부와 동일
    • 치료방법
      • 중재군: 치료프로그램 ‘변증법행동치료’에 참여하게 됨. 변증법행동치료 1단계를 12개월간 수행하며 이는 개인치료(50분), 집단 기술 훈련(19회, 120분), 전화코칭으로 구성됨. 환자에 따라 수행 개월 수는 증가할 수 있음.
      • 환자대조군: 초기 진단평가를 동일하게 진행한 후 동일 기간 동안 구조화된 임상 치료(Structured clinical management)라는 프로토콜 기반 치료를 시행함.
    • 평가변수
      • 일차평가변수: 치료기간 동안 정신과 입원 횟수, 입원 기간, 자살 및 자해 행동 횟수, 경계성인격특성, 복합외상후증후군 증상
      • 이차평가변수: 우울증상, 자살위험성평가점수, 성인애착척도, 해리증상, 증상 변화에 관한 암묵이론, 수직수평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 정서조절 문제 수준, 변증법대처기술 수준, 타액호르몬, 심박변이도 등
연구결과, 결론 및 제언 ※ 종료 전 과제는 예상결과 및 기대효과를 기술함.
  • 예상결과
    • 한국형 마음헤아리기치료 및 변증법행동치료를 받은 중재군의 증상 호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도로 나타나고, 이를 통해 경계성인격장애 환자 치료프로그램의 근거가 마련됨. 또한 연구를 통해 치료프로토콜을 완성하고 전문 치료인력을 양성함.
    • 경계성인격장애 환자 임상코호트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 기대효과
    • (임상적 측면) 불모지였던 우리나라의 경계성인격장애의 임상적 개입에 대한 근거를 생성함으로써 연구자 및 임상가들의 임상역량 강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환자 및 가족의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치료반응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정책적 측면) 점차 늘어나는 추세로 국가적 부담을 높이던 인격장애 관련 문제에 대해 근거에 기반한 정책수립이 가능해짐. 인격장애 전문인력 양성과 전문치료센터 확대, 심리사회적 개입기술의 발전을 통해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행복 수준 향상을 위한 정책을 시행할 수 있음.
    • (국민 건강증진/사회적 측면) 이 연구를 통해 신뢰할 수 있는 근거기반 치료가 개발된다면 도움이 필요한 국민들이 인격장애 관련 문제들에 대해 전문적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됨. 인격장애는 환자 뿐 아니라 가족이나 주변인의 삶의 질을 함께 떨어뜨리기 때문에 인격장애의 치료는 가족 및 사회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함. 아울러 물질중심사회에서 인격성숙의 가치를 중요시하는 성숙한 사회문화조성에도 기여할 수 있음.
임상시험번호
  • C210040
기타
  • 임시데이터
연구동영상
TOP